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미천 / 眉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의성군 옥산면과 사곡면의 경계에서 발원하여 의성군의 일부와 안동시를 북서류하여 낙동강에 합류하는 하천. 황학산(黃鶴山) 동쪽을 지나는 계류와 서쪽을 지나는 계류가 북쪽으로 흘러 만나 계속 북류하다 점곡면에 이르러 여러 계류를 합하고 유로를 서쪽으로 바꾼다. 단

  • 미천굴 / 美千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삼달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1,695m. 지층은 신생대 제4기초에 지표가 냉각될 때 중앙부가 용융(熔融)된 채 있는 용암이 다른 용암의 압력을 받아 한쪽으로 침출(侵出)되면서 흘러내린 용암굴이다. 암질(岩質)은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

  • 미추왕죽엽군설화 / 未鄒王竹葉軍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 미추왕의 영혼이 신라를 돕고, 삼국을 통일한 김유신(金庾信)의 영혼을 달래어 나라를 수호하였다는 설화. 『삼국유사』 기이편(紀異篇) 제1에 수록되어 있다. 호국설화의 전형적인 작품이다. 이 설화는 『삼국사기』의 김유신조에도 나오나 이처럼 자세하지는 않다. 신라에서

  • 미추홀구(인천광역시) / 彌鄒忽區(仁川廣域市)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의 중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동구, 서쪽 및 남쪽은 중구, 북쪽은 서구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24′~126°42′, 북위 37°29′~37°38′에 위치한다. 면적은 24.84㎢이고, 인구는 40만 4893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2

  • 미치광이풀 / Scopolia japonica MAX. [과학/식물]

    가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30∼60㎝이며, 근경은 옆으로 자란다. 잎은 타원상 난형으로 어긋난다. 꽃은 흑자색으로 4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열매를 맺는다. 우리 나라의 특산종이다. 열매는 낭탕자(莨菪子)라 하여 약재로 쓰인다. 특히, 뿌리줄기가

  • 미타찬 / 彌陀讚 [문학/고전시가]

    조선 초기에 기화(己和)가 지은 경기체가. 『함허당어록(涵虛堂語錄)』에 수록되어 있다. 미래불(未來佛)인 아미타불을 찬양하여, 서방정토에 들고자 함이 창작동기이다. 전체 10장으로 되어 있는데, 제1장은 아미타불이 중생에게 여러 방편으로 다가와서 제도함을, 제2장은 아

  • 미호서원 / 渼湖書院 [교육/교육]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에 있었던 서원. 1718년(숙종 44) 지방유림의 공의로 송규렴(宋奎濂)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고, 1721년(경종 1)에 사액되었다. 그 뒤 1724년(경조 4) 철액(撤額)되었다가 1729년(영조 5)에 복액되었

  • 미호천 / 美湖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부용산(芙蓉山, 644m)에서 발원하여 도의 서부를 서남류하여 금강에 합류하는 하천.2019년 7월 국가하천으로 승격. 길이 89.2㎞. 유역면적 1,860.9㎢. 부용산에서 발원하여 진천군·청주시 및 세종특별자치시를 거쳐 남서류하면서 모두 지방

  • 미호평야 / 美湖平野 [지리/자연지리]

    금강의 지류인 미호천(美湖川) 하류에 형성된 평야. 미호평야는 미호천이 하류의 화강암지대를 관류(貫流)하면서 이루어 놓은 평야이다. 해발고도 20~40m의 충적지(沖積地)가 너비 2~4㎞, 길이 약 25㎞에 걸쳐 북동~남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주변에 고도 100

  • 민간어원 / 民間語源 [언어/언어/문자]

    사적(史的)인 사실을 들어서 진정한 의미의 어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주로 어형상의 우연한 유사성을 가지고 그 어원을 설명하는 것. 특정한 언어형식이 역사적으로 왜 그러한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창작적으로 거론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아무 연관성이 없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