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미우라 고로 / 三浦梧樓 [정치·법제/외교]
1846-1926. 일본 외교관. 조선 주재 일본공사. 명성황후 암살 사건에 가담. 1895년 7월 19일 이노우에 가오루의 후임으로 주한 일본공사에 임명되었다. 한국의 정치적 변동을 살펴본 미우라 공사는 10월 초 주한 일본 서기관 스기무라 후카시와 밀담을 나눴다.
미원서원 / 迷源書院 [교육/교육]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 장석마을에 있는 서원. 1661년(현종 2)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광조(趙光祖)와 김식(金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8년김육(金堉), 1694년(숙종 20)남언경(南彦經), 1734년(영조 10)이제신(
미인도 / 美人圖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신소설. 1권 1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권선징악을 표방하고 있다. 구성이 다소 산만하고 우연성이 노출되고 있는 단점이 있지만, 독자들이 충분히 흥미를 가지도록 구성이 오밀조밀하게 짜여 있다. 또한, 백성들이 탐관오리의 횡포에 시달리는 모습을 작중
미인별곡 / 美人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 양사언(楊士彦)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친필수고본(親筆手稿本)의 첩책 24면으로 전한다. 첩책에는 제목과 작자가 쓰여 있지 않으나, 작자의 문집인 『봉래집(蓬萊集)』에 수록된 장단구(長短句) 「미인곡(美人曲)」과 의취(意趣)가 같으므로, 제목을 ‘미인
미인시 / 美人詩 [문학/한문학]
1832년경에 남상교(南尙敎)가 지은 연작 한시. 7언 절구 형식의 18수 연작 한시로 남상교의 시집인 『우촌시고(雨村詩藁)』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은 한 남성이 사랑하는 여인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연정시(戀情詩)이다. 연정의 대상은 기녀이며, 감정의 변이 과정을 여타
미장원 / 美粧院 [사회/사회구조]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얼굴이나 머리·피부 등을 매만지는 기술을 베푸는 사업소. 1895년(고종 32) 단발령으로 인하여 남성들의 머리모양에는 큰 변화가 오기 시작하였지만, 여자들의 머리는 좀 더 오랫동안 옛모양을 고수하였다. 그러나 일제시대에 일본 등지의 유학생이 늘
미장이 [사회/사회구조]
집을 짓거나 고칠 때 흙이나 시멘트 따위를 바르는 일을 업으로 하는 사람. 미장이는 주로 석회·모래·진흙 따위의 반죽으로 담장이나 벽을 쌓았으며, 이 밖에 부뚜막을 바르기도 하였다. ≪고려사≫ 식화지(食貨志) 녹봉조(祿俸條)에 따르면, 당시 10개 수공업관청의 61개
미주한인의 날 / Korean American Day [생활/민속]
한인들이 하와이에 처음 도착한 1903년 1월 13일을 기념하여 법률로 제정한 날. 미주로 이민한 선조들의 개척정신과 애국심을 선양해 상호 단결을 도모하고 미국사회에 대한 기여와 한미 간의 우호증진을 위해 1903년 1월 13일 하와이로 이민한 첫 도착일을 기점으로 미
미지무 / 美知舞 [예술·체육/무용]
신라 신문왕 9년(689) 임금이 신촌에서 잔치를 베풀었을 때 추던 춤의 하나. 감(監) 4인, 금척(琴尺) 1인, 무척(舞尺) 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법흥왕 때 만든 것으로 향인(鄕人)이 즐기던 미지악(美知樂)이 있는데, 이 미지악과 미지무는 같은 흐름의 무악(舞樂
미질부성 / 彌秩夫城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지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신라의 토축 성곽.산성. 481년(소지왕 3) 고구려가 말갈(靺鞨)과 더불어 북변에 침입하여 일곱 성을 취하고 다시 미질부에 침입하자, 신라군은 백제ㆍ가야군의 원조를 받아 길을 나누어 고구려를 막았다. 이곳은 본래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