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 성부산설화 [문학/구비문학]

    경주 남쪽에 있는 성부산과 관련된 지명유래 설화. 별이 떠 있는 것 같은 구체적인 사건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성부산이라는 지명이 생겼다. 『삼국유사』 권1 태종춘추공조(太宗春秋公條)와 『동국여지승람』 제21권 경주부에 실려 전해지고 있다. 이 설화는 지명유래담적인 성

  • 성산별곡 / 星山別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총 84절(행) 168구. 3·4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으며, 4·4조, 3·3조, 2·4조 혹은 2·3조, 4·3조 등도 더러 있다. 『송강가사(松江歌辭)』·『송강별집추록유사(松江別集追錄遺詞)』·『서하당유고(棲霞堂遺稿)』 등에

  • 성주중흥가 / 聖主中興歌 [문학/고전시가]

    1623년정훈(鄭勳)이 지은 가사. 지은이가 61세 때 지은 작품으로 그의 가사 5편 중 유일하게 지은 연대가 분명한 작품이다. 작자의 문집 『수남방옹유고(水南放翁遺稿)』에 전한다. 내용은 제1단 서(序) 12구에서는 반정의 감격을, 제2단 8구에서는 인조에 대한 찬사

  • 성주축원 [문학/구비문학]

    가신(家神)인 성주신에게 가정의 재수와 복을 기원하는 무가(巫歌). 「성주축원」은 성주굿이나 안택 등의 무의(巫儀)에서 구연되는데, 성주굿은 가정에서 주관하는 재수굿이나 마을에서 촌민들이 공동으로 행하는 마을굿에서 중요시되는 굿거리이며, 안택은 주로 독경무들이 행하는

  • 성풍류 / 醒風流 [문학/고전산문]

    중국 소설의 「성풍류(醒風流)」의 번역소설. 이 소설의 구성은 치밀하지 못한 편이다. 장서각본 「성풍류」는 장회를 나누지 않고 편의상 일곱 권으로 나누었으며, 각 권의 서두와 말미에 있는 시와 삽입시의 대부분을 삭제하였다. 또 본문 가운데 제9회(장서각본 3권내)에서

  • 성현공숙렬기 / 聖賢公淑烈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국문필사본. . 이 작품의 속편으로 「임씨삼대록(林氏三代錄)」이 있다. 이 작품은, 유형상으로는 계모형 가정소설이고 주제상으로는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의 계모인 여씨와 그 아들이 희린 형제를 죽이기 위해, 그들을 둘러싼 악의 무리

  • 성황설화 / 城隍說話 [문학/구비문학]

    성황신에 대한 설화. 성황설화는 성황당신과 관련되고 무속신화에 근접하는 특징을 보인다. 그렇지만 고을신화와 마을신화로서의 성격이 우세하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이 일반적인 굿의 무가로 화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지역적인 수호신들이 자리매김을 하고 과거의 여산신이나 산신

  • 세 개의 병설화 [문학/구비문학]

    세 개의 병을 사용하여 괴물에게 납치당한 누이동생을 구출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어느 마을에 괴물이 나타나 어느 집의 딸을 납치하여 갔다. 그 오빠가 누이동생을 찾으러 집을 나가 헤매다가 산속에서 어떤 노인으로부터 흰병·파란병·빨간병을 얻는다. 노인이 가르쳐준 곳까지 가

  • 세경놀이 / 世經─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연희되는 무당굿놀이. 세경은 세신(歲神)으로, 이 굿놀이는 농사의 풍년을 빌기 위한 일종의 유감주술극이며, 세신의 곡식을 거두어들인다는 뜻이 있다. 「세경놀이」의 내용은 지역과 심방(무당)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조·보리농사의 경작에서 수확에

  • 세경본놀이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지역의 무당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무속 제의의 제차 중 큰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주로 농사와 가축의 풍년과 번성을 구송하는 본풀이다. 본풀이의 길이가 무척 길고 내용이 풍부해서 중요한 자료로 꼽힌다. 함흥 지역의 「문굿무가」와 같은 계통의 무가로 간주된다

페이지 / 19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