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최상중 홍문관교리 해유문서 / 崔尙重 弘文館校理 解由文書 [정치·법제/법제·행정]

    해유문서. 1602년(선조 35) 1월 11일 홍문관에서 호조 낭청으로 문서를 이관, 다음날 호조에서 이조로 문서를 이관하였다. 최상중(崔尙重)은 최항(崔恒)의 6세손으로 최영(崔潁)의 아들이다. 1601년(선조 34) 10월 22일에 홍문관 교리로 임명되었고, 160

  • 최생우진기 / 崔生遇眞記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신광한(申光漢)이 지은 한문소설. 「최생우진기」는 삼척의 두타동천(頭陀洞天) 무릉계곡을 배경으로 주인공 최생의 신선체험을 허구화한 것이다. 「최생우진기」는 『금오신화』의 「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과 흡사하다. 「용궁부연록」에서는 천마산(天磨山)의 용추(龍湫

  • 최석정 / 崔錫鼎 [종교·철학/유학]

    1646(인조 24)∼1715(숙종 41).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명길, 아버지는 후량이다.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응교 후상에게 입양되었다. 남구만·이경억의 문인, 박세채와 교유하였다. 1671년 정시문과 병과로 급제, 이조판서, 우의정

  • 최석항 / 崔錫恒 [종교·철학/유학]

    1654(효종 5)∼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최기남 증손, 할아버지는 최명길, 아버지는 최후량, 어머니는 안헌징의 딸이다. 최후원에게 입양되었다. 최석정의 아우이다. 1680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문관검열, 경상도관찰사, 이조판서, 좌의정을 역임

  • 최성환 / 崔瑆煥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고종 때 중추부 전행도사를 지내고, 이후 선략장군에 봉해졌다. 아들로 최규집이 있는데, 그는 1859년(철종 10)에 증광 생원 3등으로 합격하였다. 《효경대의》, 고래 군신의 선악 중 경계로 삼을 만한 것을 모아《고감》이라 하였다. 이에 임금이 《효경

  • 최수 / 崔琇 [종교·철학/유학]

    ?∼1424(세종 6).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 1392년(공양왕 4) 예조총랑이 되었으나 정몽주의 일당으로 몰려 직첩을 빼앗기고 곤장 70도를 맞은 뒤에 원지로 유배되었다가 조선이 개국되자 곧 풀려났다. 1413년 순금계획을 상서하여

  • 최승우 / 崔昇羽 [종교·철학/유학]

    1770년(영조 46)∼1841년(헌종 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최심의 후손, 고조는 최체건, 증조는 최두추, 조부는 최수인이다. 부친 최광익과 모친 이지빈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몽채의 딸이다. 숙부의 문하에서 수학, 과거 공부에 힘썼다. 1814년

  • 최시형 / 崔時亨 [종교·철학]

    조선 후기의 동학인·교주(1827∼1898). 1861년(철종 12)에 동학에 입문하여 1863년 동학 2대 교주가 되었다. 1892년부터 합법적으로 교조의 신원 운동을 전개하다 1894년 전봉준을 주축으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호응하여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18

  • 최신 / 崔愼 [종교·철학/유학]

    1642(인조 20)∼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송시열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송시열이 제2차 복상문제에서 남인에게 패하고 유배되자, 이에 반대하는 유필명의 소문이 올려졌는데 그 소문의 작성자로 지목되어 사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풀려나와 사옹

  • 최양 / 崔瀁 [종교·철학/유학]

    1351(충정왕 3)∼1424(세종 6). 고려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지, 어머니는 정운관의 딸이다. 외삼촌 정몽주에게 수학,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여 이부상서·대제학 등을 지냈다. 1384년 예문관직제학에 재임할 때 이성계를 도와 서북면 정벌에 참여하였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