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미두 / 米豆 [경제·산업/경제]
현물 없이 미곡(米穀)을 거래하는 것. 미곡거래는 현물을 직접 거래하는 것이 아니라, 미곡시세의 등락을 이용해 약속으로만 매매하는 투기행위로, 현재의 증권과 같은 역할을 했다. 1930년 5월 부령 제136호로 시장규칙이 개정되고, 강력히 미두거래를 단속하게 되어, 쌀
미루나무 / Populus deltoides MARSH. [과학/식물]
버드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 양버들과 비슷하지만 잎의 길이가 너비보다 긴 것이 다르고 가지는 사방으로 퍼진다. 가지에 털이 없고 횡단면이 둥글지만 생장이 왕성한 맹아에는 능선이 있다. 정아는 크고 털이 없으며 점질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난상삼각형에서 넓은 난형이
미륵도 / 彌勒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과 미수동·봉평동·도남동에 있는 섬. 동경 129°23′, 북위 34°47′에 위치한다. 1967년에 건설된 충무교(忠武橋)와 1998년에 완공된 통영대교(길이: 591m, 너비: 20m)에 의해 통영반도와 연결되어 있다. 면적은 32.9㎢이다.
미륵보살 / 彌勒菩薩 [종교·철학/불교]
대승불교의 보살. 미륵보살은 미래에 미륵불로 성불하여 중생을 제도하리라 믿었다. 미륵보살은 인도 바라내국의 바라문 가문에서 탄생하여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받고 미리애 성불할 것이라는 수기를 받은 후 도솔천에 올라가 설법을 하고 있다. 미륵신앙은 대승불교의 종말론적 구원
미륵불교 / 彌勒佛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34년 정인표(鄭仁杓)가 전북 완주군 용지면 간중리에서 창립하였다. 정인표는 간중리 미륵산 산제당에서 오주문(五呪文)으로 치성을 하던 중 3일 만에 천신으로부터 도통을 받아, 자신에게 접응한 것이 미륵불이라고 하며 자신을 인불(人佛)이라고
미륵선화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진지왕 때 국선(國仙)인 미륵선화에 관한 설화. 영이설화(靈異說話)에 속하며, 『삼국유사』 권3 미륵선화 미시랑 진자사(彌勒仙花未尸郎眞慈師)에 실려 있다. 이 설화는 미륵에 관한 최초의 우리 기록으로서 신라 미륵 사상의 독특한 면모를 보여 주고 있다. 미륵이 화랑
미륵설화 / 彌勒說話 [문학/구비문학]
미륵보살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불교설화. 미륵설화는 다양한 면모로 전승되는 설화적 특징을 보인다. 먼저 미륵이 창세의 주체로 등장하는 유형이 있다. 이 유형에서는 석가와 미륵이 이 세상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상을 만든 주체가 누구인가 하는 점을 핵심 신화소와 주
미불서리소경 / 米芾書離騷經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예술류(藝術類) 굴원(屈原) 저, 중화총서위원회(대만) 편, 영인본, 불분권 1책(30장). 굴원의《(이소경(離騷經)》을 송대(宋代) 미불 원장(元章)이 필사한 책을 중화총서위원회에서 영인한 책이다.
미사일록 / 美槎日錄 [언론·출판]
저자 이범진(1852-1911). 필사본. 이 책은 1책 11장이다. <미사일록>은 일기와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기는 이범진이 주차미국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된 1896년 6월 20일(음력 5월 8일)부터 주미 공사로 활동하던 1897년 1월 31일(음력 12월 29
미선나무 /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과학/식물]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높이는 1m 내외이고 가지는 사방으로 펴져서 밑으로 처지고 자줏빛이 돌며 4각형이다. 골속은 계단모양이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상난형으로 양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짧은 대가 있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총상화서에 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