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최만리 / 崔萬理 [언어/언어/문자]
?∼1445(세종 27). 조선 초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자명(子明), 호는 강호산인(江湖散人). 고려시대 해동공자로 불리던 최충(崔沖)의 12대손이며 하(荷)의 아들이다. 1419년(세종 1)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그 이듬해 집현전박사로 임
최명길 / 崔鳴吉 [종교·철학/유학]
1586(선조 19)∼1647(인조 25). 조선 후기의 문신. 업 증손, 할아버지는 수준, 아버지는 기남이다. 어머니는 유영립의 딸이다. 이항복 문하에서 이시백·장유 등과 함께 수학한 바 있다. 이조판서, 우의정,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지천집≫ 19권과 ≪지
최명상 / 崔命相 [종교·철학/유학]
1676년(숙종 2)∼1736년(영조 12).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최순, 조부는 최상익이다. 부친 최중태, 모친 심약명의 딸이다. 처부는 심정구이다. 1722년(경종 2)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 가주서·정언·사서, 1723년(경종 3) 지평, 1729년(영조
최방언 / 崔邦彦 [종교·철학/유학]
1634(인조 12)∼1724(경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세영, 송시열의 문인이다. 학행으로 민정중·김수흥 등의 천거를 받아 현릉참봉이 되었다. 서인이 집권하면서 1701년 광릉참봉으로 다시 기용되고, 세자익위사의 시직·부수, 상의원첨정 등을 역임하고,
최벽 / 崔璧 [종교·철학/유학]
1762년(영조 38)∼1813년(순조 13). 조선 후기 문신. 증조부는 최하기, 조부는 최경담, 아버지는 최종섭이다. 외조부는 신도하, 처부는 이도지이다. 1783년(정조 7) 계묘 식년시 갑과 장원으로 급제한 그는 바로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다. 이후 예조좌랑,
최병인 / 崔炳寅 [종교·철학/유학]
1869년(고종 6)∼1917년. 조선 말기 유학자. 증조부는 최승우, 조부는 최운황, 아버지 최면식과 어머니 진성이씨 사이에서 네 명의 형제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불행히도 어려서부터 병약해서 벼슬을 하지는 못하였으나, 고향에서 학문에 열중하였다. 효행이 뛰어났으
최보운전 / 崔保雲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2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남녀 주인공들의 결연담과 무용담으로 엮어진 것으로, 고소설 가운데 많이 볼 수 있는 영웅소설이다. 결연과 무용담으로 흥미를 돋우며 입신양명으로 철저하게 공리주의를 추구하였다. 구성면에서 볼 때, 태자가 8년간이
최부 / 崔溥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택, 김종직의 문인이다. 1478년(성종 9) 성균관에 들어가 신종호와 더불어 문명을 떨쳤고, 김굉필 등 동학들과 정분을 두터이 하였다. 1482년 친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저작, 박사,
최산두 / 崔山斗 [종교·철학/유학]
1483(성종 14)∼1536(중종 31). 조선 중기의 문신. 아버지는 한영, 어머니는 한경회의 딸이다. 김종직·김굉필을 사숙하였다. 18세에 상경하여 조광조·김정·김안국 등과 교유하니 당시 사람들이 ‘낙중군자’라 하였다. 1513년(중종 8)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최상익 / 崔商翼 [종교·철학/유학]
1631(인조 9)∼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확 증손, 할아버지는 몽열, 아버지는 순이다.1660년(현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지평, 장령, 배천군수, 충청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