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청풍서원 / 淸風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금산군 부리면 불이리에 있는 서원. 1678년(숙종 4)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길재(吉再)의 청절(淸節)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그 뒤 1
청풍세고 / 淸風世稿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별집류(別集類) 김종후(金鍾厚) 편, 목판본, 간사년미상, 4권 2책. 청풍김씨 김극형(金克亨), 김징(金澄), 김구(金構) 3대의 문집이다.
청하서원 / 淸河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중인동에 있는 서원. 조선 순조 때 지방 유림의 공의로 정수홍(鄭守弘)·정곤(鄭坤)·박동현(朴東顯)·박동립(朴東立)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구이면 학천리에 학천사(鶴川祠)를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현 소재지에 청하서원을 창건하고
청하향교 / 淸河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포항시 청하면 덕성리에 있는 향교. 1398년(태조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서정리(西井里)에 창건되었다. 1713년(숙종 39) 현감 노세환(盧世煥)이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기 시작하여 1717년에 모두 옮겼다.
청학동가 / 靑鶴洞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현변(縣辯) 침굉(枕肱)이 지은 불교가사. 작품의 형식은 3·4조로 모두 55구이다. 「귀산곡(歸山曲)」·「태평곡(太平曲)」과 함께 침굉가사 3편 중의 하나로 작자의 문집 『침굉집』에 실려 있다. 지리산의 청학동을 찾아가서 그곳 자연의 승경을 노래한 단편이
청학훈도 / 淸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역원의 청학생도를 가르친 정9품 관직. 1434년(세종 16)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정원은 규정되지 않았다가,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에 따라 훈도 2인을 두게 되었으며, 이것이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었다. 원래의 명칭은 여진학훈도이었으나 여진족이 청
청호서원 / 靑湖書院 [종교·철학/유학]
대구광역시 수성구 황금동에 있는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손처눌과 손조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55년(영조 31)에 유시번, 1764년에 정호인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다.그 뒤
청회별곡 / 淸淮別曲 [문학/고전시가]
1677년에 이옥(李沃)이 지은 자연가사. 4음보 1행의 가사체 기준으로 38행이고, 기승전결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국한문을 혼용하여 귀글체 형식으로 필사되어 있다. 「청회별곡(淸淮別曲)」은 『황각록·서원록(黃閣錄書院錄)』이라는 필사본 책자에 들어 있다. 이 책자
체발 / 髢髮 [생활/의생활]
머리 위에 덧 드리는 다래, 또는 그것으로 틀어 만든 큰 머리.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 <도청의궤>에 보면 체발은 머리털에 덧 드리는 다리, 또는 그것으로 틀어 만든 큰 머리로 나와 있으며, 또한 <경세유표> 「비국요람」에 체발을 다리라고 기록하고 있다.
초감제 / 初監祭 [종교·철학/민간신앙]
제주 칠머리 당굿의 제의 절차 가운데 하나. 모든 신을 청하여 좌정시키고 기원하는 제차이다. 초감제는 배포도업침, 날과 국 섬김, 연유닦음, 군문열림, 분부사룀, 새도림, 정대우, 열명올림의 8단계로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