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청주향교 / 淸州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444년(세종 26)세종이 초정약수에 행차하였을 때 향교에 서책(書冊)을 하사한 일이 있었다 한다. 1683년
청창연담 / 晴窓軟談 [문학/한문학]
조선시대 문신 신흠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시인과 작품을 소개하고 논평한 평론집.시비평집. 1책. 목판본. 1650년(효종 1)에 간행되었다. 홍만종(洪萬宗)의 『시화총림 詩話叢林』에 필사로 수록되어 있다. 『패림 稗林』 제7집에도 실려 있다. 보련각(寶蓮閣)에서 발행한
청천서원 / 淸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대양면 정양리에 있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병태(李秉泰)의 절행과 청백함을 추앙하여 청백사(淸白祠)를 건립하고 위패를 모셨다. 1808년(순조 8)에 ‘청천(淸川)’이라 사액되어 서원으로 개편되었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청천집 / 靑泉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신유한의 시·서(書)·서(序)·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이미(李瀰)의 서문이 있다. 권1·2는 시 413수, 권3은 부(賦) 4편, 서(書) 31편, 권4는 서(序) 17편, 기(記) 18편, 권5는 기
청천해유문견록 / 靑泉海遊聞見錄 [언론·출판]
저자 신유한(1681-1752).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32장이다. 상, 중, 하 삼권으로 이루어진 <해유록>을 보면, <청천해유문견록> 내용이 <문견잡록>이란 이름으로 부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청천해유문견록>이 <해유록>의 일부인데 이 판본에서는 마치 독립
청초립 / 靑綃笠 [정치·법제]
왕세자빈과 왕세손빈의 가례 시 사용되는 쓰개. 왕세자빈의 가례 <순조순명후가례도감의궤>와 왕세손빈 가례 <정조효의후가례도감의궤>때 의대 물목으로 기록되어 있다. 청초립은 청초 1척 5촌으로 겉을 바르고, 안은 남주 3척으로 바른다. 매듭에 쓸 대홍진사 1량 5전, 월
청춘과부가 / 靑春寡婦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규방가사. 순한글필사본.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63행이다. 내용은 청춘에 과부가 되어 외롭게 지냄을 한탄하며, 일년에 한번이나마 만날 수 있는 직녀의 신세를 부러워하다가 노승을 만나 깨닫고 부처에게 귀의하여 후생길이나 닦으려는 심정을
청탁 / 淸濁 [언어/언어/문자]
성모의 분류에서, ‘유성음’을 가리키는 ‘청음(淸音)’과, ‘무성음’을 가리키는 ‘탁음(濁音)’을 아울러 말하는 중국 성운학의 용어. 중국 성운학에서는 ‘청음’과 ‘탁음’을 다시 소리의 성질에 따라 더 세분화하여, ‘청음’은 ‘전청(全淸)’과 ‘차청(次淸)’으로 나누고
청파극담 / 靑坡劇談 [문학/구비문학]
조선전기 문신 이육이 역대 인물들의 일화를 중심으로 엮은 야담집.야담집·잡록집. 작자의 문집인 『청파이선생문집(靑坡李先生文集)』 제2권에 수록되어 있다. 이륙의 아들 영(岭)이 1512년(중종 7)에 처음 편찬하여 그의 후손 노선(魯善)이 1853년(철종 4)에 보완하
청파일기 / 靑巴日記 [생활]
잡사류(雜史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8.5×19.1cm, 반곽은 20.7×14.7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청파일기(靑巴日記)이다. 명석정인(明石亭印)이 주색(朱色)으로 날인 되어 있다. 송병선(宋秉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