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 볼기치기 [사회/촌락]

    볼기에 다른 사람의 손질이 가해지는 행위. 우리 나라에서는 볼기에 다른 사람의 손질이 가해지면, 대상과의 관계 및 손질의 강도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를 크게 나누어 보면, 애정의 표시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행동 교정이나 징계를 위한 체벌로 이루

  • 볼링 / 볼링 [예술·체육/체육]

    손으로 공을 굴려서 레일 끝에 세워진 10개의 나무핀을 쓰러뜨리는 실내 경기. 마루(레인)는 길이 19.15m, 너비 1.66㎝이며, 마루 끝에 술병모양의 핀 10개를 역삼각형 모양으로 세운 뒤 마루의 반대편 끝쪽에서 3개의 손가락을 넣을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는

  • 봄 / 봄 [지리/자연지리]

    1년의 4계절 중 첫 번째인 겨울과 여름 사이의 계절. 기상학적으로는 양력 3∼5월을 말하나 천문학적으로는 춘분(3월 21일경)에서 하지(6월 21일경)까지이다. 절기상으로는 입춘(立春, 2월 4일)에서 입하(立夏, 5월 6일) 전까지를 말하며, 음력으로는 1∼3월을

  • 봉사 / 奉祀 [사회/가족]

    조상의 제사를 받드는 일. 조선시대에는 유교의 조상숭배사상과 관련하여 제사에 관한 의식을 관(冠)·혼(婚)·상(喪)에 관한 의식과 함께 사례(四禮)라고 부르면서 대단히 중요하게 여겼다. 제사를 받드는 조상의 범위, 제사의 종류 및 절차 등은 엄격하게 규정되어 있었다.

  • 봉사혼 / 奉仕婚 [사회/가족]

    혼인의 성립과정에서 신랑이 일정한 기간 동안 신부집에 가서 노력봉사를 해주는 것을 조건으로 이루어지는 혼인. 봉사혼은 혼인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신랑이 신부집에 일정액의 신부값을 치러야 하는 관습을 가진 사회에서 만약 그러한 신부값을 치를 능력이 없을 때 그 대신에 노력

  • 봉장 / 封狀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겉봉투. 겉봉을 봉한 편지를 지칭한다. 간찰은 크게 겁봉에 해당하는 피봉(皮封)과 편지 내용에 해당하는 내폭(內幅)으로 나뉜다. 봉(封)이란 종이로 싼 물건의 덩이를 말하는데, 봉장이란 편지의 내용을 담은 피봉을 말한다.

  • 봉황문 / 鳳凰文 [예술·체육/공예]

    상서로움을 상징하는 상상적인 봉황새를 나타낸 장식 무늬. 봉황은 중국에서 닭의 머리에 제비의 턱, 뱀의 목, 거북의 등, 물고기의 꼬리 등 여러 짐승의 형상을 조합시켜 만들어 낸 새로, 6척의 키에다 몸과 날개는 오색(五色)의 빛이 찬란하고 오음(五音)의 소리를 내면서

  • 부곡 / 部曲 [사회/촌락]

    우리 나라 전근대사회에 존속했던 특수한 계층의 사람들이 거주하던 지역. 부곡이라는 명칭은 우리 나라뿐만 아니라 전근대 중국이나 일본에서도 역시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국이나 일본에서 사용된 부곡의 의미와 개념은 우리 나라와 매우 다르다. 대체로 호족세력 등에 예속되어

  • 부군 / 부군 [사회/촌락]

    함경북도 지방의 촌락사회에서 관행되었다고 전하는 봉사 형태의 협동노동. 함경북도 명천군 하운면 명천동에서는 환자가 생겨서 농사일이 뒤처지거나 곤란을 받는 농가, 혹은 주택의 신축이나 개축, 10세 이하의 사망자가 생겨서 장례를 치러야 할 때, 그밖에 농가에서 곤란한 사

  • 부동사 / 副動詞 [언어/언어/문자]

    부사형 어미 혹은 연결어미를 가지는 용언의 활용형. 국어 문법에 부동사의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이는 알타이 언어학자 람스테트(Ramstedt,G.J.)이다. 그는 알타이어학의 전통에 따라 국어의 용언을 그 어미활용에 의하여 정동사·부동사·동명사의 셋으로 크게 나누고

페이지 / 1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