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청백운 / 靑白雲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홍낙술(洪樂述, 1745∼1810)이 지은 고전소설. 서문에 따르면 『청백운』은 초료산주인(鷦鷯山主人)이 썼다. 작가는 홍낙술(洪樂述)이 유력하다. 홍낙술의 고종사촌 이택수(李澤遂, 1739∼1777)의 문집에 「초료산기(鷦鷯山記)」가 실려 있는데, 이 글

  • 청비록 / 淸脾錄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실학자 이덕무가 역대 고금의 명시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시화와 시평을 수록하여 1966년에 간행한 평론집.시평집. 4권 2책. 필사본. 『청비록』의 제1권에는 이덕무의 소서(小序)가 먼저 보인다. 이어서 「사십쌍 四十雙」에 대한 변증에서부터 「중주집에서 고려에

  • 청선 / 靑扇 [정치·법제]

    노부 의장 중 하나. 청선은 붉은색으로 칠한 자루에 푸른색 천으로 부채모양을 만든 후 아무 그림도 그리지않고 청저사로 부채 테두리를 장식한다. 국왕, 왕비, 세자, 세손의 노부 의장에 모두 사용, 그 수효도 2자루로 차이가 없었다. 거둥할 때에는 가마의 바로 뒤를 따

  • 청성서원 / 淸聖書院 [교육/교육]

    황해도(현재의 황해남도) 해주시 청풍동 수양산 아래에 있었던 서원. 1691년(숙종 17)에 해주목사 이창(李昶) 등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충(崔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1년(영조 7)에 ‘청성(淸聖)’이라 사액되었으며, 청성묘(

  • 청성서원 / 靑城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막곡리에 있는 서원. 1612년(광해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호문(權好文)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8년(고종 5)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그 뒤

  • 청송향교 / 靑松鄕校 [교육/교육]

    경상북도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에 있는 향교. 1426년(세종 8)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가 1606년(선조 39) 부사 이영도(李泳道)가 국동(菊洞)에 대성전을 건립하고, 1629년(인조

  • 청수서원 / 淸水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순천시 금곡동에 있었던 서원. 1693년(숙종 1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수광(李睟光)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27년(영조 3)에 ‘청수(淸水)’라 사액되었으며, 1730년에 이응기(李應耆)를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 청수안마 / 靑繡鞍馬 [정치·법제]

    국장의 발인 때 사용하는 의장용 말. 청수안마는 청색으로 수놓은 안장을 사용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만드는 방법은 먼저 마른 풀을 엮어 길이 8척 7촌, 높이 4척 3촌의 형체를 만들고 생포와 자리로 싼 다음에 종이로 재차 바른다. 말총과 갈기를 만들고 푸른색으로 수놓

  • 청안향교 / 淸安鄕校 [교육/교육]

    충청북도 괴산군 청안면 읍내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으나 사마소(司馬所)가 1703년(숙종 29)에 건립된 것으로 보아 향교의 창건시기는 그 이전일 것

  • 청암서원 / 淸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상주시 공검면 예주리에 있는 서원. 1752년(영조 2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포(柳砲)·유달존(柳達尊)·박눌(朴訥)·이겸(李謙)·유종인(柳宗仁)·홍약창(洪約昌)·남영(南嶸)·정윤해(鄭允諧)·박성민(朴成敏)·이영갑(李英甲)·남근명(南近明)의 학문과 덕행을 추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