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문산서원 / 文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동양리에 있었던 서원. 1786년(정조 10)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우정(洪宇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

  • 문산천 / 汶山川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과 양주시 백석읍의 꾀꼬리봉(425m)에서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 임진강에 합류하는 하천. 문산천은 임진강의 제1지류로서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내포리 임진강 하류부 좌안측으로 유입하여 임진강에 합류한다. 유역면적 187.73㎢, 유로연장 30.0㎞이

  • 문살무늬 / 문살무늬 [예술·체육/공예]

    건축 창호의 살 짜임새에서 나타나는 장식 무늬.격자문. 문살 무늬는 살의 짜임새에 따라 정자살 무늬·빗살 무늬·솟을 빗살 무늬로 나뉘고, 그에 따라 창호 이름도 정자 살창·빗살창·솟을 빗살창이 되고 있다.문살 무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정자살 무늬는 살대가 서로 직각으로

  • 문상 / 問喪 [사회/가족]

    상주(喪主)를 조문하는 행위. 문상의 형식은 상가(喪家)를 찾아가 영위(靈位)에 두 번 절하고 이어 상주와 맞절을 한 뒤 상주를 위로한다. 옛날에는 영위 앞에서 한참 곡(哭)을 하다가 절을 하고 상주와 마주 대하여서도 곡을 하다가 절을 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곡을 하는

  • 문서응봉사 / 文書應奉司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부터 조선 초기까지 사대교린의 외교문서를 작성하던 기관. 승문원(承文院)의 전신이다. 고려 때 처음 문서감진색(文書監進色)이라는 비상설기구를 설치하고 별감을 두어 외교문서를 담당하게 하였다가, 뒤에 문서응봉사로 개칭하였다. 조선 건국 후 1411년 문서응봉사를

  • 문서청 / 文書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에 설치된 선혜청의 각 지방담당 관서. 경기청·강원청·호서청·호남청·영남청을 말한다. 해서청(海西廳)은 명칭만 있었을 뿐 처음은 호서청에 부속되어 있다가, 1698년(숙종 24) 이후 강원청에 병설, 운영되었다. 각 청에는 각 1인의 낭청이 몇 사람의 계사(

  • 문선사 / 文選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문관의 인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이조 소속의 관서. 1405년(태종 5) 3월 태종의 왕권강화도모와 직결된, 육조가 중심이 되어 국정을 운영하는 육조직계제의 실시와 명나라의 속부제(屬部制) 및 청리사제(淸吏司制)가 연관되면서, 육조속사제

  • 문선왕악장 / 文宣王樂章 [문학/고전시가]

    공자의 위패를 모신 문묘(文廟)의 석전(釋奠)에 쓰이던 음악의 노랫말. 조선조의 「문선왕 악장」은 모두 7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14장의 『송사(宋史)』 「석전악장」, 8장의 『대성악보(大成樂譜)』 「석전악장」, 6장의 『명사(明史)』 「석전악장」, 16장의 『명

  • 문설 / 文說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지은 문장에 관한 논설. 그의 문집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권12에 실려 있다. 문장에서 상어(常語)의 사용과 고문(古文)과의 비교, 문장의 독자성, 문(文)과 도(道)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그리고 “문은 전달목적만 이루면 된다(辭達而已)

  • 문섬·범섬 천연보호구역 / ─天然保護區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해상의 무인도인 문섬과 범섬을 중심으로 지정된 천연보호구역. 2000년 7월 18일에 천연기념물 제421호로 지정되었다. 문섬은 동서 길이 530m, 남북 길이 300m로 동서 방향의 긴 타원형 무인도이다. 면적은 96,833㎡이고, 섬 정상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