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천자문 / 千字文 [언어/언어/문자]

    1583년 1월에 선조(宣祖)의 명에 따라 한호(韓濩)가 써서 간행한 『천자문』 목판본. 『천자문』 앞표지에 “천자문(千字文) 내사(內賜)”라 쓰여 있는데 후대에 개장(改粧)하여 쓴 것으로 여겨진다. 안쪽은 오랜 사용으로 인해 종이가 낡아져 책장을 넘기는 귀퉁이를 종이

  • 천전 / 遷奠 [정치·법제]

    국장에서 산릉 찬궁에 있는 재궁을 옮겨 현궁에 내릴 때 거행하는 전의. 국장에서 발인 후 대여가 능소에 도착하면 곧바로 하관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재궁을 영악전의 찬궁에 안치하였다. 천전의는 영악전에 모신 재궁을 현궁으로 옮길 때 거행하는 전의를 가리킨다. 찬궁 앞에 설

  • 천주공경가 / 天主恭敬歌 [문학/고전시가]

    1779년(정조 3) 이벽(李檗)이 지은 천주가사. 순한글로 되어 있는 작품으로,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7행이다. 정약전(丁若銓)·권상학(權相學)·이총억(李寵億)이 지은 「십계명가」와 더불어 최초의 천주가사이다. 『만천유고(蔓川遺稿)』에 전하는데, “기

  • 천주교 / 天主敎 [종교·철학/천주교]

    로마 교황을 교회의 대표자로 인정하는 종교. 공식명칭은 가톨릭교회(Catholic Church) 또는 로마가톨릭교회(Roman Catholic Church)이다. 천주교신앙은 절대자인 하느님과 하느님의 아들인 예수 그리스도를 대상으로 한다.

  • 천주실의 / 天主實義 [종교·철학/천주교]

    17세기 초에 중국에서 간행된 한역서학서. 예수회 소속의 중국 선교사인 마테오리치가 16세기 말에 저술하였다. 이 책은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대화자는 중국인 학자와 사영인 학자이다. 마테오리치는 이 책에서 중국인 학자를 통해 전통적인 중국유학의 입장과 불교, 유교

  • 천지팔양신주경 / 天地八陽神呪經 [언어/언어/문자]

    당나라 삼장법사(三藏法師)의정(義淨)이 번역한 불서. 한문의 원문에 한글로 음역하여, 다른 불경과 함께 합본으로 간행되었다. 판식과 합본된 책의 차이에 따라서 이본이 많다. 현재로는 『불설광본대세경(佛說廣本大歲經)』·『불설지심다라니경(佛說地心陀羅尼經)』과 함께 1657

  • 천찬관 / 薦饌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가례 등의 왕실 행사에 쓰인 찬품을 천거하는 관리. 영조는 가례 때의 노고를 치하하기 위하여 천찬관 사옹원직장 이형중에게 처음에는 준직에 제수하라고 명하였다가 전례에 따라 6품으로 승진시켰다.

  • 천파집 / 天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오숙 시문집. 4권 4책. 목판본. 1646년(인조 24) 아우 빈이 진주목사로 있을 때 편집, 간행하였다. 시와 문이 따로 편철되었고, 저작연대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권두에 이경석·정두경의 서문이, 권말에 박미의 후서가 있다. 권1∼3에 시 4

  • 천풍가 / 天風歌 [문학/고전시가]

    1690년(숙종 16)경에 노명선(盧明善)이 지은 기행가사.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가칭(假稱)]의 순한글 필사본과 노대식(盧大植) 소장의 국한문혼용체 필사본이 전한다.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66행이다. 작품 끝에 덧붙인 “긔유 십일월 삼구일 용하다

  • 천하창창취중주필 / 天何蒼蒼醉中走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권필(權韠)이 지은 한시. 칠언고시(七言古詩)로 작자의 문집인 『석주집(石洲集)』에 수록되어 있다. 칠언(七言)이 주조를 이루나 사언과 오언이 뒤섞여 있다. 모두 72구, 414자로 되어 있다. 작자가 세상을 살아가면서 부닥치는 모순과 느끼는 울분을 가장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