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천묵유고 / 天默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이상형의 시문집. 6권 2책. 목판본. 1713년(숙종 39) 증손 이근이 편집, 간행, 그뒤 후손 봉의·현의·윤의 등이 중간하였다. 권두에 권상하의 서문, 권말에 후손 봉의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51수, 소차 17편, 권3·4에 계사
천문학교수 / 天文學敎授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천문학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종6품 관직. 1466년(세조 12) 관제정비때 정식으로 설치. 정원은 1인. ≪경국대전≫에는 잡과출신자에게 제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규정. 1762년(영조 38)에 천문학 겸 교수 3인을 두되, 1인은 천문학에 할당하고
천문학훈도 / 天文學訓導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시대 관상감에서 천문학 생도의 교육을 담당한 정9품 관직. 1466년(세조 12) 관제경정때 정원 1인으로 설치되어 조선 말기까지 변동없이 존속되었다.
천보총 / 千步銃 [과학기술/과학기술]
조선 후기에 발명된 총. 조총보다 성능이 뛰어난 총으로 1725년(영조 1)부터 개발하여 1737년 대량생산에 들어갔다. 박영준이 개발한 총으로 사정거리는 1,000보였다. 수성용으로 서북방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1871년에 조사한 어영청의 화기 중에도 1병이 있
천수석 / 泉水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9권 9책. 국문필사본. 이 작품은 당나라 말기 오대(五代)의 중국 역사상에 나타나는 실제 인물과 사건을 일부 차용하여, 한 시대의 질서가 붕괴되어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중국 소설인 『잔당오대연의(殘唐五代演義)』의 인물 및 삽화가 들어
천안향교 / 天安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398년(태조 7)에 처음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조선 선조 때 다시 천안향교를 지은 것으로 보인다. 명륜당은 1656년
천예록 / 天倪錄 [문학/구비문학]
조선후기 문신 임방이 자신이 견문한 이야기를 서술한 야담집. 합철본에는 「연랑전 蓮娘傳」과 「최척전」이 앞부분에 필사되어 있으며 ‘천예록’이라는 제목을 붙인 다음 「지리산로미봉진 智異山路迷逢眞」이 제1화로 소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 제1화는 덴리대본에 수록되어 있지 않
천원도감 / 遷園都監 [정치·법제]
정조가 사도세자의 묘소인 영우원을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 원소를 조성하기 위해 만든 임시 기구. 1789년 정조가 양주 배봉산에 있는 사도세자의 묘소인 영우원을 수원 읍치의 명당인 화산으로 옮기게 된다. 이때 정조는 천원도감을 만들어 원소를 조성하였다. 정조는 원을 옮
천유집고 / 天游集古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신 박문규가 한당(漢唐) 이래의 옛 시구(詩句)를 모아 엮은 시선집.집구서. 족손 원규(元珪)가 편집하고, 박춘경(朴春卿)이 등사(謄寫)하여 ‘천유산방시고(天游山房詩稿)’라 이름하였다. 그뒤 산재하여 있는 집구(集句)를 최문현(崔文鉉)이 수집, 편차(編次)해
천의소감언해 / 闡義昭鑑諺解 [언어/언어/문자]
1756년(영조 32) 『천의소감』을 한글로 번역하여 간행한 책. 이 책은 영조가 형인 경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게 된 경위와 그 정당함을 밝히고, 이를 회의하고 부정하는 사람들을 엄단해나간 30여년 동안의 사실들을 들어, 그 뒤의 반역을 경계하려는 목적으로 175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