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천구 / 遷柩 [종교·철학/유학]
상례의 절차 가운데 하나. 장례를 치르기 위하여 영구를 마루 혹은 사당으로 옮기는 의식이다. <가례>에 의하면 발인 전날 아침에 조전을 올린 후 영구를 사당으로 옮긴다고 한다. 사당에서 행하는 절차인 조조가 끝나면 영구를 마루로 옮긴다. 천구를 행한 날 저녁에 제사를
천군복위가 / 天君復位歌 [문학/고전시가]
1824년(순조 24) 조우각(趙友慤)이 지은 가사. 세인의 빗나가는 마음을 바로잡아 주기 위하여 지은 작품으로,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41행이다. 작자는 경상북도 영천에서 만리관(萬里館)을 지어 그곳에서 학문을 익히고 글을 가르치며 생활해온 은일사로서
천군본기 / 天君本紀 [문학/한문학]
조선 순조 때에 정기화(鄭琦和)가 지은 고전소설. 『천군본기』 권두에 정기화의 자서(自序)와 본서의 입언(立言)한 방법을 논술한 총론이 실려 있다. 본기(本紀)에서는 먼저 천군(心)의 시호를 명원(明元)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천군의 내력을 중국의 역사와 혼용하여 설명
천군소설 / 天君小說 [문학/고전산문]
사람의 마음을 의인화하여 온몸에서 일어나는 심통성정의 사건들을 주요 내용으로 한 고전소설. 마음을 천군이라 한 것은 『순자 荀子』의 「천론 天論」에서 기원하며, 『순자』의 「해폐 解蔽」, 『범준 范浚』의 「심잠 心箴」, 『회남자 淮南子』의 「태족훈 泰族訓」과 「원도훈
천군실록 / 天君實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유치구(柳致球)가 지은 고전소설. 1권. 한문필사본 . 『천군실록』은 「천군전」의 구조에다가 「구서」에 나오는 신체의 일부 명칭과 또한 심성론에 등장하는 용어들을 차용하여 이를 의인화하여 작중인물로 등장시키고 있는 의인소설(擬人小說)이다. 마음의 의인인 천
천군연의 / 天君衍義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정태제(鄭泰齊)가 지은 한문소설. 한문소설. 1책 창작시기는 현종 초기로 추정된다. 「천군연의」의 구성은 저자의 서문과 천군연의 총 31회의 장회체(章回體) 등으로 되어 있다. 「천군연의」는 장편의 한문소설이다. 등장하는 인물들도 매우 복잡하다. 주인공 심
천군전 / 天君傳 [문학/한문학]
1566년(명종 21)김우옹(金宇顒)이 지은 고전소설. 한문목판본. 「천군전」은 충신형과 간신형 인물의 대립·갈등에서 충신형 인물의 승리로 끝맺음으로써 고전소설의 권선징악이라는 주제를 드러내고 있다. 작품의 구조상 도입부가 너무 길고 갈등부분이 짧아 소설이 주는 흥미가
천궁몽유록 / 天宮夢遊錄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한글필사본. 이 작품의 중심 내용은 복선화음(福善禍淫)으로서 작자의 부연과 각색이 많이 가미된 전통적 몽유록의 내용이지만 구성 방식에는 차이가 있다. 첫째, 몽유록의 일반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역사적 현실에 대한 비판이나 사상적
천렵 / 川獵 [생활/민속]
냇물에서 고기를 잡으며 즐기는 놀이. 봄부터 가을까지 즐길 수 있으나 여름철에 더 많이 놀이되며 주로 남자들이 즐긴다. 여름철 피서법의 하나로 산수 좋은 곳을 찾아 찬물에 발을 담그고 노는 탁족(濯足)과 함께 행하기도 한다. 냇물이나 강가에 그물을 치고 고기를 잡으며
천명 / 天命 [종교·철학/유학]
유가철학의 중요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천이 인간에게 부여하는 명령. 천 개념은 은대에는 자연천의 뜻, 주대는 인견존재이며 주재자를 의미하게 된다. 원래 천명은 주대에 정치적 개녀믕로 기초가 확립되어, 도덕적인 개념으로 발전한 것은 공자와 맹자에 의해서이다. 한대에 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