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무예제보번역속집 / 武藝諸譜飜譯續集 [언어/언어/문자]
임진왜란 직후 최기남(崔起南)이 편찬한 군사 병법서. 보물 제1321호. 임진왜란 직후 조정에서는 군사병법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한교(韓嶠)가 선조(宣祖)의 명을 받고 1598년에 『무예제보』를 편찬한 바 있는데, 훈련도감의 도청(都廳)인 최기남이 이 책에서 빠진 것을
무오사화 / 戊午史禍 [정치·법제/정치]
1498년(연산군 4) 김일손 등 신진사류가 유자광을 중심으로 한 훈구파에 의해 화를 입은 사건. 조선시대에 일어난 사대사화 중 첫번째로 일어났던 사화이며, 사초문제로 발단되었기에 무오사화라고 한다.
무오연행록 / 戊午燕行錄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서유문(徐有聞)이 지은 연행록. 한글필사본. 권1은 무오년 8월 9일부터 서장관에 임명된 뒤의 준비 과정과 10월 19일 중국 황제의 표문(表文)을 받고 길을 떠나 12월 6일 쌍양점(雙陽店)에 이르기까지 약 3개월간의 일기이다. 권2는 12월 7일 쌍양
무용극대본집 / 무용극대본집 [예술·체육/무용]
최승희의 장막 민족 무용극을 수록하여 1958년에 간행한 예술서.대본집. 「무용극대본집」에는 네 개의 장막 민족 무용극 「반야월성곡」(3막 4장), 「사도성의 이야기」(5막 6장), 「맑은 하늘 아래서」(4막 9장), 「운림과 옥란」(4막 8장)이 실려있다. 첫 장막
무용용어통일위원회 / 舞踊用語統一委員會 [예술·체육/무용]
1974년 무용예술진흥 계획에 따라 발족된 한국문화예술진흥원 산하 공공단체. 1972년 중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무용수업 시간 단축과 전공 학점 감축이 이루어지자 무용계의 자성과 각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무용평론가 조동화(趙東華, 1922~2014)는 조택원의 경제적 후
무용학 / 舞踊學 [예술·체육/무용]
무용예술에 관한 이론적인 인식과 역사적인 인식을 기본 과제로 삼아 연구하는 학문. 전자의 경우 무용적 창작활동의 본질이 동(動)·음(音)·색(色)·광(光)·물(物) 등 예술품 조형의 근간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과의 연계 위에서 어떻게 여과되고 혼화(渾和)되어야 하는가에
무위소 / 武衛所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궁궐을 수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아. 1874년 무위청과 훈련도감에서 500명을 새로 뽑아 훈련도감 지휘하에 1회 100명씩 5교대로 궁중숙위를 담당하게 하였다. 1879년 북한산성에 있던 경리청을 이에 소속시키고, 총융청 소속의 북한성관장 이하 모든 관
무위영 / 武衛營 [역사/근대사]
1881년 왕궁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영. 1881년 11월 종래의 5군영을 무위영과 장어영의 양영으로 개편하면서 5군영 가운데 훈련도감, 용호영, 호위청을 합하여 무위영으로 하였다. 무위영은 1874년 4월에 설치되었던 무위소의 연장으로, 왕궁을 지키는 친군 내지는
무을교 / 戊乙敎 [종교·철학/신종교]
증산교 교단 중의 하나. 1953년 이동옥(李東玉)이 전북 김제군 금산면 용호리에서 창립하였다. 김계주(金械朱) 밑에서 지도를 받던 이동옥은 1950년 김계주가 죽자 무을교를 창립하였다. 그는 포교활동보다 증산사상과 <주역> 연구에 관심을 갖고, 필사본으로 된 많은 저
무이도 / 武夷圖 [언론·출판]
저자 이제안(1791-?). 필사본. 격자문양의 능화판 표지에 '무이도'라고 묵서한 체첨을 붙였다. 도첩은 전체 22면으로 장첩되어 있다. 전체 구성은 표지, 제1.2면에 주희의 <무이도서>, <무이정사잡영병서>, 제3면부터 제20면에 걸쳐 무이구곡도를 그렸으며, 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