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무비지 / 武備志 [정치·법제/국방]
명나라 모원의가 집대성한 병법, 무예서. 명의 내우외환과 군비의 부족을 실감한 모원의가 명의 부국강병을 실현하기 위하여 중국 도대의 2천여 종의 군사관련 서적을 15년간 수집, 편집하여 1621년(광해군 13)에 편찬하였다. <무비지>는 240권, 200만여 문자와 7
무산 / 巫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인제군 서화면과 고성군 수동면에 걸쳐 있는 산. 무산의 높이는 1,320m로, 태백산맥 중의 한 산이며 휴전선 북쪽의 북한 지역에 속한다. 인제군 해안분지와는 직선거리로 13㎞ 정도 북측에 위치한다. 무산은 휴전선을 따라 북류하여 고성 부근에서 동해로 흘러들어가
무산계 / 武散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의 무신들에게 주던 관계. 무산계가 처음으로 실시된 것은 995년(성종 14)으로서 그 이전은 신라와 태봉(泰封)의 관계를 참작해 만든 고려의 관계를 사용하고 있었다. 문·무산계의 실시가 중요한 것은 종래에는 구분되어 있지 않던 문·무반이 구분되어 양반관료제의
무산고원 / 茂山高原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원. 무산고원의 두만강과 그 지류인 서두수·연면수(延面水) 등 여러 하천 유역의 일대에는 낙엽송을 주로 하는 침엽수림이 밀림을 이루고 있으며, 이를 운반하기 위하여 백무선(白茂線)이 부설되었다. 성천수(城川水)유역에 있는 무산철산(茂山鐵山)은
무산군 / 茂山郡 [지리/인문지리]
광복 당시 함경북도 서북단에 있었던 군. 도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군으로, 동쪽은 부령군과 경성군, 서쪽은 함경남도 혜산군, 남쪽은 길주군, 북쪽은 두만강을 접하고 있다. 동경 128°3′∼129°35′, 북위 41°13′∼42°26′에 위치하며, 면적 6,
무산군읍지 / 茂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무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咸鏡北道茂山郡邑誌(함경북도무산군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무산부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무산령 / 茂山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 서상면과 회령군 창두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606m. 함경산맥의 북단에 있는 신봉(新逢)과 옥성산(玉城山)과의 안부(鞍部)에 있다. 남사면은 청진만으로 흘러드는 수성천(輸城川)의 계곡으로 통하고 북사면은 두만강의 지류인 회령천(會寧川) 계곡으로 이
무산범의구석유적 / 茂山─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북도 무산군 호곡동에 있는 신석기에서 철기시대에 걸친 주거지 유적. 이 유적은 1959년부터 1961년까지 3년 동안 5차에 걸쳐 조사되어 약 40개의 주거지가 발굴되었다. 층위는 두터운 퇴적층이 여러 시기의 문화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일부는 교란되어 있었다. 제1
무산선 / 茂山線 [경제·산업/교통]
함경북도 부령군 고무산과 무산군 무산 사이에 부설된 철도. 총연장 57.9㎞. 고무산을 기점으로 서상-무수-폐무산-차령-신참-서풍산-주초-무산철산을 거쳐 무산에 이른다. 1929년에 개통되었으며 무산지역에서 채굴된 노천 철광석을 청진 지역의 제철소까지 수송하기 위하여
무산향 / 舞山香 [예술·체육/무용]
조선 순조 때 창작된 향악정재(鄕樂呈才)의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춘앵전(春鶯囀)과 같이 한 사람이 추는 독무(獨舞)이다. 춘앵전은 화문석 위에서 추지만 무산향은 침상(寢床)과 같이 짠 대모반(玳瑁盤) 위에 올라서서 추는 춤이다. 춤사위와 무복(舞服)도 춘앵전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