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몽천서원 / 蒙泉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금매리에 있는 서원. 1693년(숙종 19) 지방유림의 공의로 윤시형(尹時衡)과 윤사진(尹思進)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37년(영조 13)에 ‘夢泉(몽천)’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왔

  • 몽천요 / 夢天謠 [문학/고전시가]

    1652년(효종 3)윤선도(尹善道)가 지은 연장체 단가. 모두 3수. 『고산유고(孤山遺稿)』 권6 하(下) 별집에 실려 있다. 「어부사시사」를 지은 이듬해 성균관 사예(司藝)로 특소(特召)되어 승지에 제수(除授)되었으나, 주위 신하들의 심한 시기와 노환으로 인하여 물

  • 몽학 / 蒙學 [언어/언어/문자]

    사역원에서 가르친 4가지 언어 가운데 몽골어. 13세기 전반 고려는 강력한 원의 침략을 받고 재침 우려 속에서 원나라의 사자를 응대하기 위해서 몽골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이 교육은 조선 왕조가 들어선 이후 갑오개혁 때까지 계속되었으나, 고려와 달리 조선은 몽골과 직접적

  • 몽학이천자 / 蒙學二千字 [언어/언어/문자]

    이종린(李鍾麟)이 편찬한 한자교습서. 불분권(不分卷) 1책, 목판본. 1914년 회동서관(匯東書館)에서 간행되었다. 청소년들에게 한자를 교육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하였다. 4구로 된 한자성어 500수가 실려 있어 한자가 모두 2,000자인데, 각 한자의 아래 한글로

  • 몽학훈도 / 蒙學訓導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역원 소속의 몽학을 가르치던 관직. 조선시대에는 외교 정책으로 사대 교린을 표방했기 때문에 일찍부터 역학 교육에 힘썼다. 1393년(태조 2) 4월 육학에 역학을 두어 양가 자제를 뽑아 교육을 시킨 것으로 보인다. 몽학에 관한 기록이 처음 보이는 것은 13

  • 몽환가 / 夢幻歌 [문학/고전시가]

    작자,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같은 제목으로 여러 이본이 전하는데, 분량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몽환가」와 유사한 내용의 가사로 「몽환별곡」이 있다. 두 작품은 같은 주제를 상이한

  • 몽환별곡 / 夢幻別曲 [문학/고전시가]

    작자, 연대 미상의 불교가사. 4음보 율격의 가사. 『악부』본 「몽환별곡」 외에 여러 이본이 전하는데, 각각 분량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서사─본사─결사의 3단 구성을 보이고 있다. 「몽환가」와 「몽환별곡」은 세상만사가 다 몽환이니 염불에 힘쓰자는 같은 주제를 다르게

  • 묄렌도르프 / P. G. von Möllendorff [정치·법제/외교]

    1847-1901. 독일인. 조선 최초의 서양인 고문관으로 외교와 세관 업무 담당. 1869년 중국으로 건너와 청의 해관에서 5년동안 하급 직원으로 근무하였다. 1874년 5월 이후 독일영사관 통역관으로 활동, 1879년에는 천진영사관의 부영사로 임명되었다. 1882년

  • 묘각사 / 妙覺寺 [종교·철학/불교]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낙산에 있는 절 1942년 5월 이홍선이 창건한 대한불교관음종의 총본산이다. 현 위치에 절을 세우면 서울이 평안하고 시민생활에 안정을 가져온다는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터를 잡았다고 한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석굴암, 요사채가 있다. 석굴암

  • 묘갈 / 墓碣 [문학/한문학]

    한문문체의 하나. 묘갈은 형태가 둥글고 묘주의 품계가 5품 이하이며 그 체제가 질실한 것이다. ‘묘갈’과 ‘묘비(墓碑)’는 본래 묘소 앞에 세우는 비석으로 본래는 구분되었으나 후대에 와서 서로 통용되었다. 묘갈은 서사(敍事)를 위주로 하는 정체(正體)와 의론(議論)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