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1,89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 개념 용어(일반)
  • 보디빌딩 / 보디빌딩 [예술·체육/체육]

    중량의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신체의 골격과 근육을 발달시키는 신체운동. 체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체급을 나누고 그 체급별로 근육의 모양과 크기, 균형 발달 정도와 대칭 여부, 피부색깔, 그리고 골격과 자세 등을 심사하여 등위 를 결정한다. 보디빌딩은 예로부터 있어 왔지만

  • 보령남포벼루제작 / 保寧藍浦─製作 [예술·체육/공예]

    문방사우의 하나인 벼루를 만드는 일 및 그 기능을 가진 장인.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우리 나라에서 벼루의 재료로 쓰이는 석연재(石硯材)는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데 특히 무산·평양·장산곶·정선·평창·장단·단양·안동·경주·언양·강진과 계룡산 등이 대표적인 산지로

  • 보릿고개 [사회/사회구조]

    하곡인 보리가 여물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해 가을에 걷은 식량이 다 떨어져 굶주릴 수밖에 없게 되던 4∼5월의 춘궁기(春窮期)를 표현하는 말. 농민이 추수 때 걷은 수확물 중 소작료, 빚 또는 그 이자, 세금, 각종 비용 등을 지급하고 난 뒤 나머지 식량으로 초여름에 보

  • 보모 / 保姆 [사회/사회구조]

    왕조시대 궁중에서 왕자녀의 양육과 교도를 맡은 궁녀 또는 남의 자녀를 맡아 길러주는 여인. 보모의 자격은 반드시 너그럽고 인자하며, 공경하고 조심하며 말수가 적어야 한다고 하였다. 궁중에서 왕자녀의 양육을 맡은 궁녀는 유모 외에도 많았다. 특히, 세자의 경우 10인은

  • 보문 / 補文 [언어/언어/문자]

    변형생성문법(變形生成文法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의 용어. 구문론(構文論)에서 단문(單文)의 대(對)가 되는 복문(複文)은 문장이 여러 개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 관계관형절(關係冠形節)을 가진 것, 보문을 가진 것 등 세 가지

  • 보부상 / 褓負商 [경제·산업/경제]

    전통사회에서 시장을 중심으로 봇짐이나 등짐을 지고 행상을 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 교환경제가 이루어지도록 중간자 역할을 했던 전문적인 상인. 보상(褓商)과 부상(負商)을 총칭하는 명칭이다. 보상은 주로 기술적으로 발달된 정밀한 세공품이나 값이 비싼 사치품 등의

  • 보사공신 / 保社功臣 [역사/조선시대사]

    1680년(숙종 6) 경신대출척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내린 칭호 또는 그 칭호를 받은 사람. 김만기·김석주에게 1등공신을, 이입신에게 2등공신을, 남두북·정원로·박빈에게 3등공신을 내렸다. 이 중 정원로는 역모와 관련 있다고 하여 6월에 복주(伏誅)되어 삭훈되었다.

  • 보상당초문 / 寶相唐草文 [예술·체육/공예]

    보상꽃과 당초 덩굴로 나타낸 장식 무늬. 당초 무늬는 건축·공예·조각·회화 등의 조형미술 전반에 광범위하게 쓰인 장식 의장(裝飾意匠)으로, 인류가 수렵과 유목생활에서 목축·농경 생활을 시작하던 때부터 나타난 무늬로 알려져 있다.당초라는 말은 일본 헤이안문학(平安文學)

  • 보상화문 / 寶相華文 [예술·체육/공예]

    반쪽의 팔메트(palmette)잎을 좌우대칭시켜 심엽(心葉)형으로 나타낸 장식무늬. 보상화무늬가 양식적으로 성립한 것은 7세기 전후 사산·페르시아에서였고, 우리나라와 일본에 전해졌다. 그러므로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에 보상화무늬가 성행하였다. 좌우대칭으로 완성된 팔메트

  • 보쌈 / 보쌈 [사회/가족]

    처녀 액땜을 위하여 밤에 외간남자를 보(褓)에 싸서 잡아다가 강제로 동침시키던 풍습. 남편을 둘 이상 섬겨야 할 팔자의 딸을 위하여 조선시대 양반집에서 행하던 것으로서, 잡혀온 남자는 함구령이 내려진 채 방면되거나 때로는 죽음도 당한다. 보쌈은 이처럼 대체로 처녀를 위

페이지 / 1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