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김석규 / 金碩奎 [종교·철학/유학]

    1826년(순조 26)∼1883년(고종 20).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김휘경이다. 정재 유치명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책문을 잘 썼지만 과거에 네 차례 응시하여 모두 낙방하자 이후 과거시험을 보지 않았다. 1881년(고종 18) 일본공사 하나부사 요시모토를 추방하고

  • 김석일 / 金錫一 [종교·철학/유학]

    1694(숙종 20)∼1742(영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김흥진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준, 아버지는 승지 김두명, 어머니는 이무의 딸이다. 1715년(숙종 41) 진사가 되고, 1731년(영조 7)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39년 지평·정언을 역임하고,

  • 김석준 / 金奭準 [종교·철학/유학]

    1831년(순조31)∼1915년. 조선 후기의 시인·서도가. 아버지는 역관 김계운, 어머니는 유봉길의 딸이다. 당대에 명성을 떨친 서도가 김계술이 당숙이다. 현기와 이상적으로부터 시를 배웠다. 역관으로 공직생활을 시작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에까지 이르렀다. 저서로《홍

  • 김석진 / 金奭鎭 [종교·철학/유학]

    1843년(헌종9)∼1910년. 조선 후기의 문신·항일우국지사.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이다.1860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궁내부특진관·비서원경·장례원경·귀족원경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매국역도들을 주살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며, 1910년 일

  • 김석필 / 金錫弼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 문신. 증조부는 김당, 조부는 김회윤, 부친은 김중손이다. 연산군 8년(1502) 임술 별시에 3등 7위로 급제하였다. 벼슬은 예문관검열, 대교, 이조정랑 겸 수찬관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원종공신 1등으로 녹훈되었고 이어서 홍문관교

  • 김선 / 金瑄 [종교·철학/유학]

    1599년(선조 32)∼1614년(광해군 6). 조선 중기의 문신. 증조는 김안도, 조는 김오, 부친은 김제남이다. 모친은 광주노씨 광산부부인으로 노계의 딸이다. 김선은 선조의 처남이다. 백헌 이경석과 과거 공부를 같이 하였는데, 김선의 문예를 따를 수 없다고 항상 칭

  • 김성구 / 金聲久 [종교·철학/유학]

    1641(인조 19)∼1707(숙종 33). 조선 후기의 문신. 김득가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율,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 김추길, 어머니는 유화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사마시를 거쳐 1669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전적·무안현감·직강·지평·수찬·정언 등을 지

  • 김성원 / 金聲遠 [종교·철학/유학]

    ?∼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학자. 증조부는 형조판서 김정이다. 조헌의 문인이다. 어려서부터 독실한 행실이 있었고, 크고 작은 일에 관계없이 반드시 조헌에게 물어 그의 남다른 사랑을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조헌이 의병을 일으키자 그를 따라 금산

  • 김성일 / 金誠一 [종교·철학/유학]

    1538-1593. 조선 선조때의 성리학자. 아버지는 김진이며, 어머니는 여흥 민씨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68년 과거급제하였다. 1590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건너가 실정을 살피고 침략이 없을 것이라 보고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처벌이 논의되었으나 유성룡의

  • 김성탁 / 金聖鐸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47(영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할아버지는 생원 김방렬, 아버지는 김태중, 어머니는 김여만의 딸이다. 1735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 사헌부지평, 사간원정언·홍문관수찬 등을 역임하였다. 1737년이현일의 신원소를 올렸다가 왕의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