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목포 갓바위 / 木浦─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용해동 해안가에 있는 바위. 2009년 4월 27일에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갓바위는 두 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기는 큰 것이 8m이고 작은 것이 6m 정도이다. 목포8경의 하나이며, 2008년 4월에 영산강변을 따라 해상보행교가 설치되어
목포산업단지 / 木浦産業團地 [경제·산업/산업]
전라남도 목포시 상동과 석현동 일대에 위치한 산업단지. 서남 지역 대중교역의 요충지라고 할 수 있는 목포시에 입지해 있는 이 단지는 목포항으로부터 약 6㎞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조성 목적은 중소기업 육성 및 공장 유지 그리고 서민 생활을 향상시키고 단지 조성으로 인한
목포시 / 木浦市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남서단 영산강 하구에 위치한 시. 동쪽과 남쪽은 영산호(榮山湖)에 면해 영암군을 마주하고 있으며, 서쪽은 많은 도서들로 이루어진 신안군, 북쪽은 무안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17'∼126°26', 북위 34°44'∼34°49'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목포시사 / 木浦詩社 [예술·체육/건축]
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정면 4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팔작지붕건물. 전라남도 기념물 제21호. 한말 정만조가 1907년 창건했다고 전한다. 이 건물은 각 지방에서 문사 200여명이 모여들어 봄, 가을 2회 백일장을 개최하고, 한시의 명맥
목포역 / 木浦驛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목포시 호남동에 있는 기차역. 1913년 5월 15일호남선의 목포∼학교 간 개통으로 역사 준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한 우리나라 최서단에 입지한 철도역이다. 1979년 7월 3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으며, 2004년 4월 1일 KTX 열차가 운행됨으로써
목포항 / 木浦港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항구. 지리적으로 국토의 서남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1897년 10월에 개항되어 개항 100주년이 지난 유서깊은 항만이다. 자연적인 조건과 입지적인 여건이 양호한 목포항은 중국 및 동남아시아로의 진출을 위한 거점항만으로서 서남권 경제의 중추적 역할
목항아리 [역사/선사시대사]
목이 그릇 높이의 5분의 1 이상으로 굵고 길게 붙어 있는 항아리. 목항아리는 고배(高杯)와 함께 신라토기의 대표적 기형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 의미로서의 긴 목이 달린 항아리의 형식은 신석기시대부터 보이며, 청동기·초기철기시대에도 계속 사용된다. 특히, 검은간토기〔
목행선 / 睦行善 [종교·철학/유학]
1609(광해군 1)∼1663(현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세칭 증손, 할아버지는 이조참판 첨, 아버지는 호조참판 장흠, 어머니는 남위의 딸이다. 1633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수찬, 지평, 헌납, 대사성, 대사간, 승지, 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목호룡 / 睦虎龍 [종교·철학/유학]
1684(숙종 10)∼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지관. 참판 진공 후손, 남인 서얼이다. 일찍이 종실인 청릉군의 가동으로 있으면서 풍수술을 배워 지사가 되었다. 처음은 노론인 김용택·이천기·이기지 등과 왕세제를 보호하는 편이었으나, 1721년(경종 1) 김일
목화 / 木花 [과학/식물]
아욱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온대지방에서는 1년생 초본식물이지만 원산지인 열대지방에서는 다년생 목본식물이다. 높이도 우리 나라에서는 90㎝ 내외에 불과하지만 열대지방에서는 180∼210㎝까지 자라기도 한다. 원줄기는 곧게 뻗으며 15개 내외의 마디가 있고 각 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