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6,84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후기
  • 광수무 / 廣袖舞 [예술·체육/무용]

    조선시대 숙종 때부터 전하는 정재(呈才) 중 하나. 1719년(숙종 45) 경현당(景賢堂)에서 연행된 『진연의궤(進宴儀軌)』의 기록에 의하면 9작(九爵) 중 제3작에는 「초무(初舞)」, 제4작에는 「아박(牙拍)」, 제5작에는 「향발(響鈸)」, 제6작에는 「무고(舞鼓)」

  • 광암유집 / 廣巖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여석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활자본. 1938년 그의 손자인 영달(永達)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연구(柳淵龜)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탁영(李鐸英)과 손자인 영달·영범(永範) 등

  • 광양송천사지회은장노비 / 光陽松川寺址悔隱長老碑 [예술·체육/서예]

    전라남도 광양시 옥룡면 송천사터에 있는 조선시대 승려 회은 관련 기념비. 석비. 시도유형문화재.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82호. 비의 높이 274cm. 도선 국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해 오는 송천사는 폐사되어 유구(遺構)가 거의 없으나 다행히 나한전지라 전해지는 건물지 앞

  • 광양읍지 / 光陽邑誌 [지리/인문지리]

    1858년(철종 9)경에 편찬된 전라도 광양(지금의 광양시) 읍지. 후사본(後寫本). 1책. 필사본. 내용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읍호(邑號)·관직(官職)·방리(坊里)·성지(城池)·산성(山城)·산천(山川)·성씨(姓氏)·풍속(風俗)·학교(學校)·서원(書院)·단묘(壇廟

  • 광재물보 / 廣才物譜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편자 미상의 일종의 백과전서. 4권 4책. 필사본. 간행연대는 확실하지 않으나, 1798년(정조 22)에 이성지(李成之)가 엮은 『재물보』를 확대한 것으로 미루어볼 때, 그 보다는 후대에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1998년 홍문각에서 영인하

  • 광제가 / 廣濟歌 [문학/고전시가]

    19세기 말에 창작된 작자 미상의 불교가사. 4·4조 위주 4음보 율격의 가사. 총 304구. 내용상 서사와 본사로 구성되어 있다. 서사(1∼24구)는 ‘사바세계 중생들’이라는 청자를 설정하여 전체적인 요지를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본사의 전반부(25∼198구)는 인간사

  • 광제비급 / 廣濟秘笈 [종교·철학/유학]

    1790년(정조 14)에 이경화가 간행한 의서.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가 지방 사람들의 의료혜택을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단

  • 광제서원 / 廣濟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계원리에 있는 서원. 남양홍씨(南陽洪氏) 문중에서 고려 은청광록대부상서(銀靑光祿大夫尙書) 홍의(洪毅)와 고려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수사공상서(守司空尙書) 보문각(寶文閣) 태학사(太學士) 홍관(洪灌)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세울 당시

  • 광주목지 / 光州牧誌 [지리/인문지리]

    조선 정조 연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 광주목(지금의 광주광역시) 읍지. 1책. 사본. 표지에는 ‘光州牧誌(광주목지)’로 되어 있다. 본지는 1·2권으로 되었다. 내용 구성은 권1에 건치연혁(建置沿革)·직관부속직(職官附屬職)·방리(坊里)·호구(戶口)·전결(田結

  • 광주향교 / 廣州鄕校 [교육/교육]

    경기도 하남시 교산동에 있는 향교. 정확한 창건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후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의 중등교육과 지방민의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경기도문화재자료 제13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주심포(柱心包)계통의 맞배지붕인 대성

페이지 / 685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