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지리 2,75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지리
  • 동성 / 童城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김포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 동성현으로 이름을 바꾸어 장제군(長堤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시대에 수주(樹州)의 임내에 속하였다가 공양왕 때에 감무(監務)를 설치한 통진현(通津縣)에 병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통진현 봉성면(奉城面)이었던 곳으로 이곳

  • 동안 / 東安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동안군으로 이름을 고쳐 경주의 속현으로 하였다. 신라 때는 회야강(回夜江) 남쪽 송정리(松亭里)의 해안 절벽 위에 숙마성(熟麻城)을 쌓고 만호직(萬戶職)을 두어 다스리게 하였다. 고려 태조 때 동안군에 속하였던 우풍현(虞

  • 동여도 / 東輿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철종 연간에 제작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의 전국 지도. 채색필사본. 1조 23첩.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와 유사한 내용으로 김정호(金正浩)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작성한 고본(稿本)일 가능성과 『대동여지도』에 자료를 보충한 필사

  • 동여도지 / 東輿圖地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국가의 통치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편찬한 지리서. 22책. 필사본. 총 22책 중 8책, 14책, 18책 등 3책은 결본이다. 현존하는 지리지는 영남대학교 도서관 17책과 규장각 도서 2책 등 19책이 남아 있다. 『동여도지』를 편찬하게 된

  • 동여비고 / 東輿備考 [지리/인문지리]

    전국의 도별도·군현도 등 32종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집.지도첩. 『동여비고』의 구성과 체제를 살펴보면, 32여 종의 지도를 60면으로 나누어 한 책에 수록하였다. 가로는 33㎝∼68㎝이고 세로는 37㎝∼42㎝으로 지도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이 책은 일종의 도별도(道

  • 동여전도 / 東輿全圖 [지리/인문지리]

    전국 도별도와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크기는 세로 24㎝, 가로 17㎝이며,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각 1매와 전국 8도 각 1매씩 전체 11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도를 「대조선국전도」라고 한 것으로 보아 대한제국

  • 동작구 / 銅雀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위치한 구(區). 서울특별시 동작구는 동쪽으로 서초구, 서쪽으로 영등포구, 남쪽으로 관악구에 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한강 건너 용산구와 영등포구 여의도와 접해 있다. 위치는 동경 126°45'∼126°59', 북위 37°28'∼37°30'이다. 면

  • 동잠 / 桐岺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 금산(金山)으로 고쳐서 개령군(開寧郡)의 영현으로 삼았고,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에 이속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정종 때 임금의 태(胎)를 묻은 곳이라 하여 군(郡)

  • 동점령 / 銅店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갑산군 진동면(지금의 양강도 갑산군 동점노동자구)의 동부에 있는 고개. 높이 1,857m. 우리 나라에서 제일 높은 고개이다. 이 고개는 동점령산(銅店嶺山, 2,113m)과 활기봉(活基峰, 2,003m) 사이에 있으며 동쪽 기슭에는 남대천(南大川)과 서쪽 기슭

  • 동정호 / 洞廷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흡곡면 연화리(지금의 통천군 하수리) 북동부 연안에 있는 호수. 넓이 4.84㎢, 남북길이 4.5㎞, 동서길이 1.4㎞이며, 둘레는 18.1㎞로 소개되었으나, 1990년 현재의 영상을 중심으로 GIS 와 원격탐사 기법으로 측정된 규모는 넓이 4.68㎢ 이

페이지 / 27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