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모란문 / 牡丹文 [예술·체육/공예]

    모란을 소재로 나타낸 장식 무늬. 모란에 대한 것은 『삼국유사』의 선덕여왕조에, 당시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홍색·자색·백색꽃의 모란 그림과 씨앗 서 되를 보내 왔다고 적고 있다.문양으로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암막새 기와에 모란꽃을 도안화한 보상화(寶相華) 무늬가 많이

  • 모란봉 / 牡丹峰 [지리/자연지리]

    평양시 기림리금수산(錦繡山)에 있는 봉우리. 모란봉의 높이는 96m이다. 절벽을 이루고 있는 모란봉 아래 대동강 물 위에는 유명한 능라도(綾羅島)라는 하중도(河中島)가 있어 좋은 대조를 이룬다. 모란봉 중턱에 있는 을밀대(乙密臺)는 북한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사허정

  • 모리 아리노리 / 森有禮 [정치·법제/외교]

    1847-1889. 일본 외교관. 주청 일본공사. 강화도조약과 관련하여 이홍장과 협상. 1870년 소변무사에 임명되어 초대 미국공사가 되었다. 미국공사 외에도 외무대보를 역임하였다. 1875년 일본정부는 모리를 주청 일본공사에 임명하였다. 1879년에는 영국공사로 취

  • 모리야마 시게루 / 森山茂 [정치·법제/외교]

    1842-1919. 일본 외교관. 외무성 출사. 이사관. 외무성 설치 직후 조선 업무를 담당함. 1869년 7월 모리야마는 외무성 설치와 함께 외무소록이 되었다. 1874년 외무소승이 되었다. 일본정부는 모리야마를 부산에 파견하여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였다. 1

  • 모밀잣밤나무 / Castanopsis cuspidata var. thunbergii Nakai [과학/식물]

    참나무과 모밀잣밤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달걀모양의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잎의 길이는 4∼10㎝, 너비는 2∼5㎝이다. 잎의 뒷면은 미세한 연한 털로 되어 있는데, 털에 흰빛이 돌지만 대부분은 담갈색이다. 잎자루는 길이가 1㎝

  • 모스크바 3상회의 / Moscow三相會議 [정치·법제/정치]

    1945년 12월 미.영.소 3국의 대표들이 모여 한반도 신탁통치안을 결정한 회의.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수상이 참여했다. 한반도에 대한 신탁통치방침은 이미 전쟁중 미국에 의해 구상되고 카이로, 테헤란, 얄타회담 등에서 제안된 바

  • 모시 [생활/의생활]

    쐐기풀과에 속하는 모시풀의 인피 섬유로 제직한 직물. 저마(苧麻)라고도 한다. ≪계림유사 雞林類事≫에는 ‘저왈모 저포왈모시배(苧曰毛苧布曰毛施背)’라고 기록되어 있어 일찍이 고려시대에도 저마 섬유를 ‘모’, 저마포를 ‘모시베’라고 일컬었음을 알 수 있다. 한자로는 저(苧

  • 모시풀 / Boehmeria nivea (L.) GAUDICH. [과학/식물]

    쐐기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매년 흡지의 각 마디에서 여러 개의 새 줄기가 발생하여 지름이 1.2∼1.5㎝에 이르고 키가 1.5∼3.0m에 달한다. 한 그루에서 10개 이상의 줄기가 생성되며, 어릴 때에는 녹색을 나타내나 성숙하면 다갈색으로 변한다. 줄기의 인피

  • 모심기소리 [문학/구비문학]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민요. 작업의 순서를 보면 모내기를 하기에 앞서서 모판에서 모를 찌는 과정이 있는데, 그때 부르는 것은 「모찌기소리」이다. 「모찌기소리」는 「모심기소리」와 같은 형식이나 사설이 아주 한정되어 있다. 모내기가 시작되면 함께 일하는 사람들이 두 패로

  • 모아쓰기 / syllabic writing system [언어/언어/문자]

    한글 자모(字母)를 음절 단위로 조합하여 적는 표기 방식. 모아쓰기는 ‘곰’과 같이 한글 자모를 음절 단위로 모아 쓰는 표기 방식이다. ‘ㄱㅗㅁ’과 같이 한글 자모를 나란히 배열하는 방식은 풀어쓰기라고 한다. 모아쓰기는 전통적인 한글 표기 방식으로서 『훈민정음』에 구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