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명월관 / 明月館 [사회/사회구조]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아일보 광화문 사옥터에 있는 대한제국기 궁중 요리를 전문으로 개점한 조선 최초의 건물.요릿집. 명월관은 1909년경 한말 궁내부(宮內府) 주임관(奏任官) 및 전선사장(典膳司長)으로 있으면서 궁중 요리를 하던 안순환이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명월음 / 明月吟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모두 78구. 작자의 다른 가사 「용사음(龍蛇吟)」과 함께 『인재속집(訒齋續集)』 권8에 실려 전한다. 제작 시기는 1594년(선조 27)에서 1597년 사이로 추정된다. 임진왜란으로 몽진(蒙塵) 길에 오른 임금을 명월에 비겨
명월진 / 明月鎭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 위치한 조선족 집거지역. 명월진은 화동(華東), 성동(城東), 명동(明東), 신안(新安), 흥화(興華), 원예(園藝) 등 53개의 행정촌(村)과 73개의 자연마을[屯]을 관할하고 있다. 주요 거주 민족은 한족, 만족, 조선족이다.
명월팽나무군락 / 明月─群落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명월리 하천변에 있는 팽나무 군락.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19호. 명월리 중동 마을 중심부를 흐르는 계천 양편에 따라 수령 약 500년생 이상으로 추정되는 팽나무와 푸조나무의 노거목 100여 그루가 잘 보존되고 있고 이 숲은 자생적인 것으
명의록 / 明義錄 [종교·철학/유학]
1776년(정조 즉위년)에 세손(정조)의 대리청정을 반대하던 홍인한·정후겸 등을 사사한 일을 기록한 책. 3책. 인본.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되었다. 1777년(정조 1)에 정조 자신이 찬집청을 설치하고 김치인 등에게 편집하게 하였다. 이 때 정조도 적극 참여해 수록
명의록언해 / 明義錄諺解 [언어/언어/문자]
1777년(정조 1) 정조의 명에 의해 간행된 『명의록』 언해서. 3권 4책. 『명의록』은 정조가 왕세손으로 있을 때 그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반대한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의 역모사건의 시말을 공표하여 충도(忠道)를 밝히고자, 정조가 김치인(金致仁) 등
명의설화 [문학/구비문학]
병을 잘 고치는 이인(異人)의 능력을 다룬 설화. 내용이 복잡해서 일정한 유형으로 정리하기는 어려우나 주인공이 뛰어난 도술을 지니고 있어 정체를 알 수 없는 병을 쉽게 고친다는 것을 공통점으로 삼고 있다. 초기의 설화에서 병 고치는 의원이 승려로 등장한 것은 불교 전래
명이덕산 / 蓂夷德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이천군 웅탄면과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585m. 남쪽에 금슬봉(琴瑟峰, 763m), 북쪽에 이덕산(梨德山, 1,298m)·백암산(白巖山, 1,220m)과 연결되어 영서지방과 관북지방을 분리하는 준령을 이룬다. 서쪽 산록에는 임진강의
명자나무 / Chaenomeles lagenaria (LOISEL) KOIDZ. [과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학명은 Chaenomeles lagenaria (LOISEL) KOIDZ.이다. 높이가 1∼2m에 달하는데 가지 끝이 가시로 변한 것도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양끝이 뾰족하다. 길이 4∼8㎝, 너비 1.5∼5㎝로 거치
명재유고 / 明齋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 윤증의 시문집. 51권 26책(본집 46권 23책, 별집 4권 2책, 부록 1권 1책). 목활자본. 1732년(영조 8) 아들 행교와 손자 동원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본집의 권1은 사부 2편, 시 140여 수, 권2∼4는 시 460여수, 권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