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자라도 / 者羅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자라리에 있는 섬. 동경 126°66′, 북위 34°41′에 위치한다. 목포에서 서남쪽으로 22.2㎞, 안좌도(安佐島)에서 동남쪽으로 1㎞ 지점에 있다. 면적은 4.70㎢, 해안선 길이는 15㎞이다. 자라도(1.56㎢)·증산도(1㎢)·휴암도(1.
자봉도 / 自峯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 동경 127°38′, 북위 34°36′에 위치하며, 화양면에서 남동쪽으로 5㎞ 지점에 있다. 면적은 0.34㎢이고, 해안선 길이는 6.14㎞이다. 부근에 개도(蓋島)·송도(松島)·돌산도(突山島)·제도(諸島)·화태도(禾太島)·월
자비령 / 慈悲嶺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황주군 구락면, 봉산군 산수면, 서흥군 소사면·목감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489m. 언진산맥 말단의 연암(蓮巖, 590m)과 자비산과의 안부에 위치한다. 황주준평원(黃州準平原)과 재령평야에 쌓인 보명산(保命山, 584m)·가마산(可馬山, 481m)·정방산(
자성강 / 慈城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자성군 칠평면의 사랑봉(舍廊峯, 1,787m)과 가릉령(加陵嶺, 1,441m)에서 발원하여 자성군을 북류한 뒤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04㎞.주요 지류로는 조례천(造禮川)·대회동천(大會洞川)·소회동천(小會洞川)·운동강(雲洞江) 등이 있다. 평북고원지대
자월도 / 紫月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에 있는 섬. 동경 126°20′, 북위 37°15′에 위치하며, 자월면의 주도이다. 인천에서 서남쪽으로 35㎞ 지점에 있다. 주변에는 소이작도·대이작도·승봉도 등이 있다. 면적은 7.26㎢이고, 해안선 길이는 20.4㎞이다. 조선시대에는 남양도
자은도 / 慈恩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에 속하는 섬. 목포에서 서북쪽으로 28.5㎞ 떨어져 있으며, 동남쪽 2.3㎞ 지점에 암태도가 있다. 동경 126°03′, 북위 34°53′에 위치한다. 면적은 52.19㎢, 해안선 길이는 56.8㎞이다. 2007년 말 현재 인구는 2,534명(남
작약도 / 芍藥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동구 만석동에 속하는 섬. 작약도는 만석동 해안에서 동북쪽으로 4.8㎞ 지점에 있으며 서쪽으로는 영종도(永宗島)와 이웃하고 있다. 동경 126°35′, 북위 37°30′에 위치하며, 면적 0.072㎢, 해안선길이 1.2㎞이다. 겨울철에는 이곳에 사람이 거주하
장고도 / 長古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1′, 북위 36°24′에 위치한다. 오천면 해안에서 서쪽으로 17.4㎞, 삽시도에서 북쪽으로 3.8㎞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7㎢이고, 해안선 길이는 8.6㎞이다. 태안해안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0
장군봉 / 將軍峯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에 있는 산. 높이 2,108m. 백두산에서 남동방향으로 뻗어내린 마천령산맥에 속한다. 북포태산(北胞胎山, 2,289m)에서 뻗은 지맥이 남포태산(南胞胎山, 2,435m)을 거쳐 장군봉으로 이어진다. 백두산 용암대지의 끝에 있는 메사(mesa)의
장군봉 / 將軍峰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과 재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20m. 봉화군은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고 동으로 태백산맥, 북으로 소백산맥으로 둘러싸인 곳이다. 그 중에서도 소천면과 재산면은 봉화군에서도 가장 험한 산악지대이다. 북쪽 멀리에는 태백산에서부터 연화봉(蓮花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