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면암유고 / 勉庵遺稿 [문학/한문학]
고려 말기의 문인 조운종(趙雲從)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간행연도는 미상이며, 저자의 아버지가 유고를 모으다 죽자 아버지의 당질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기선(鄭基善)의 서문이 있다. 권1·2는 시 256수, 권3은 서(序) 3편, 기(記) 5편, 제
면암집 / 勉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애국지사 최익현의 시문집. 48권 24책. 목판본. 초간본은 최익현이 일본 대마도 옥중에서 순국한 지 2년 뒤인 1908년 봄에 맏아들 영조를 중심으로 문인 이재윤·고석진·조우식 등 30여명에 의해 편집, 같은 해 11월 정산(定山)에서 46권 23책
면앙정가 / 俛仰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송순(宋純)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45구이며, 음수율은 3·4조, 4·4조, 3·3조, 4·2조, 3·5조 등 다양하다. 필사본 『잡가 雜歌』에 국문가사가 전한다. 작자의 문집인 『면앙집 俛仰集』에는 한역가가 실려 있으며, ‘무등곡(
면앙정단가 / 俛仰亭短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1829년(순조 29) 간행된 목활자판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편에 한역가(漢譯歌)만 실려 전한다. 면앙정 앞의 넓은 들, 긴 내와 흰 모래사장, 소나무 울타리와 대나무 숲, 그 위를 떠가는 구름, 지는 해, 저물녘 종소리와
면앙정잡가 / 俛仰亭雜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송순(宋純)이 지은 시조. 1829년(순조 29) 간행된 목활자본 『면앙집(俛仰集)』 권4 잡저편에 한역가(漢譯歌)만 실려 전한다. 모두 2수로, 제1수는 정자 위에서 부는 바람을 보고 그 때의 정회를 읊은 것이다. 추월산(秋月山) 바람이 금성(金城)을 지
면앙집 / 俛仰集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문신 송순(宋純)의 문집. 1829년(순조 29)에 송득칠(宋得七) 외 8인이 편찬하였다. 필사본은 7권 4책, 목판본은 4권 2책. 『면앙집』은 송순의 문학 전반을 살필 수 있는 자료이고, 정치·사회·문화·문학 등의 각 방면에 걸쳐 책으로서의 귀중한 자료
면인면기설화 [문학/구비문학]
남편이 아내의 행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어딘가에 표시해놓은 그림이 나중에 보니 변하였다는 설화. 소화(笑話)에 속하며, 조선 선조 때유몽인(柳夢寅)이 저술한 『어우야담』에 실려 있다. 중국 청나라 때의 『소림광기(笑林廣記)』 권1 졸하화조(拙荷花條)와 13세기 일본 문헌
면주전 / 綿紬廛 [역사]
조선시대 육주비전 가운데 주로 국산 명주를 취급하던 시전. 길쌈은 조선시대 가내 부업 중 으뜸이었다. 부녀 노동에 주 역할을 담당한 것은 길쌈이 있었고 그 중 하나가 명주 길쌈이었다. 명주 생산에는 뽕재배와 양잠인데 철원과 춘천의 부녀자들이 특히 명주 길쌈에 능했다
면직 / 綿織 [생활/의생활]
금규과(錦葵科)의 면속(綿屬)에 속하는 종자모섬유(種子毛纖維)로 방적, 제직한 직물. 우리 나라에 면이 전래된 유래는 ≪고려사≫·≪조선왕조실록≫ 등에 전하여 내려오고 있다. 곧 고려시대 공민왕 12년(1363)에 원나라에 다녀온 문익점(文益漸)에 의하여 종자가 들어와
면천 / 沔川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당진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혜군(槥郡)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혜성군(槥城郡)으로 고쳐 1018년(현종 9) 운주(運州)의 속현으로 하였으며 후에 감무를 설치하였다. 1293년(충렬왕 19) 현인(縣人) 복규(卜奎)가 합단(哈丹)의 침입을 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