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맹자집주대전 / 孟子集註大全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호굉(胡廣) 등 수명편(受命編). 목판본(신간). 한성(漢城) 규장각 1820년(순조 20) 14권 7책. 표제는 맹자(孟子),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맹자(孟子)》에 주석한 책이다. 표지에 편목(

  • 머루 [과학/식물]

    포도과에 속하는 넌출성 낙엽식물. 머루란 산포도의 총칭으로 과실을 식용하는 머루속과 식용할 수 없는 개머루속으로 크게 구분된다. 머루속에 속하는 종류로는 왕머루·새머루·까마귀머루 등이 있다. 머루속 식물은 줄기의 골속이 갈색이며 수피에는 피목이 없고 세로로 벗겨지며 꽃

  • 머릿장 / 머릿欌 [예술·체육/공예]

    방의 머리맡에 놓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장. 높이가 얕은 천판(天板)에 애완품(愛玩品)이나 기물(器物)을 올려놓기도 하고 중요한 서류를 수장(收藏)하기도 한다.사랑방의 것은 몸체가 단층 정방형에 문짝이 하나 혹은 두개가 상하로 있고 서랍이 윗부분에 두세 개가

  • 머슴 [사회/촌락]

    고용주의 집에서 주거하며 새경[私耕]을 받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농업임금노동자. 고공(雇工)·고용(雇傭)·용인(傭人) 등으로도 불렸다. 1527년(중종 22)에 나온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 訓蒙字會≫에 고공이 머슴으로 표기된 점으로 보아 머슴의 어원이 상당히 오래되

  • 먹으면 죽는다는 꿀 [문학/구비문학]

    어린 중이 꾀를 써서 스님이 혼자 먹으려던 꿀을 다 먹어버렸다는 내용의 설화. 소화(笑話) 중 지략담(智略譚)에 속하며, ‘사미설화(沙彌說話)’·‘스님과 상좌’·‘훈장과 학동’ 등으로도 불린다. 문헌상으로는 16세기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권5와 홍만종(

  • 멀구슬나무 / Melia azedarach L. [과학/식물]

    멀구슬나무과 멀구슬나무속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표고 300m 이하 마을 부근이나 산록에 식재 또는 자생한다. 나무의 지름은 30∼100㎝이며, 높이는 15∼20m이다.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고창군청 내에 소재하는 멀구슬나무는

  • 멋 / 멋 [사회/사회구조]

    한국인이‘미적인 것’을 가리킬 때 ‘아름다움’·‘고움’과 함께 사용하는 미학용어.문학용어. 우리들은 ‘멋있는 집이다.’, ‘멋있는 글씨다.’, ‘저 사람의 옷맵시는 멋있다.’, ‘저이는 멋쟁이다.’, ‘멋있는 풍경이다.’라는 말들을 종종 사용한다. 이 때 멋이란 말은

  • 멍석말이 [생활/민속]

    상쇠를 앞세우고 풍물을 치면서 일렬로 서서 안으로 나사모양으로 돌아 들어갔다가 다시 나사모양으로 되돌아 나오는 춤사위. 농악의 판굿이나 탈춤의 춤사위의 하나이다. 연행을 할 때 상쇠가 가장 중심부로 돌아 들어갔을 때의 모양이 마치 멍석을 말아놓은 형태와 같다고 해서 멍

  • 멍에투겁 / End Fitting of Yoke [역사/선사시대사]

    초기철기시대 멍에의 끝에 끼워 사용한 수레갖춤[車輿具]. 말의 목에 끼워 말이 끄는 힘을 수레에 전달하는 부품의 하나인 멍에[車衡]의 상단에 끼우는 일종의 장식을 말한다.고깔동기는 그 형태에 따라 삿갓머리통모양동기[笠頭筒形銅器]와 삿갓머리나팔모양동기[笠頭喇叭形銅器]로

  • 메가다 다네타로 / 目賀田種太郞 [정치·법제/외교]

    1853-1926. 근대 일본의 재정관료. 한국정부 재정고문. 1891년 요코하마 세관장을 맡았고, 1894년부터 10년간 대장성 주세국장으로서 조약개정과 관련해 근대적 세제를 정비하였다. 1904년 귀족원 칙선의원에 임명되었다. 1907년 9월 남작 작위가 수여되었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