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맹산군 / 孟山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동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함경남도 영흥군에 접하고, 서쪽은 덕천군, 서남쪽은 순천군, 북동쪽은 영원군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6°11′∼126°40′, 북위 39°24′∼39°51′에 위치하며, 면적 1,101㎢, 인구 약 5만 136명(1944년 현재)이
맹산군읍지 / 孟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맹산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관서읍지』에 수록된 것과 연대 미상의 필사본 『맹산읍지』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건치연혁(建置沿革)·
맹산분지 / 孟山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맹산군 맹산읍을 중심으로 발달한 분지. 토질은 대부분이 충적지토양으로 되어 있으며, 구릉지역에는 산림갈색토(山林褐色土)가 분포하고 있다. 북쪽의 약태산(藥苔山, 973m), 동쪽의 철옹산(鐵瓮山, 1,095m), 남쪽의 복호덕산(伏虎德山, 827m) 등의 높은
맹산향교 / 孟山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맹산군 맹산면 수정리에 있는 향교. 조선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서재·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홍살문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에는 국
맹산흑송림 [과학/식물]
평안남도 맹산군 맹산읍 일대에 있는 흑송림 북한 천연기념물 제53호. 이 일대에는 약 200여년된 흑송림이 숲을 이루고 있다. 이 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사철푸른 마른잎 키나무로서 줄기 높이는 약 25m, 지름 약 1m이며 어릴 때 나무껍질은 약간 붉은색이나 자라면서
맹상군가 / 孟嘗君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단편가사로 장가 또는 사설시조의 형태와 비슷하다. 맹상군의 생애를 슬퍼하고, 살아 있을 동안에 한껏 놀며 즐기자는 내용으로 정철(鄭澈)의 「장진주사(將進酒辭)」와 비슷한 주제의 노래이다. 『청구영언』·『교주가곡집』 등에 실려 전한다.
맹선 / 猛船 [정치·법제/국방]
조선 전기 전투와 조운을 겸할 수 있게 만든 군선.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조선 전기에 왜구를 토벌하기 위하여 대선·중대선·중선·쾌선·맹선·별선·추왜별맹선·추왜별선 등 여러 종류의 군선들이 증강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이들 군선이 일정한 규격 없이 건조되어 군선으
맹암실기 / 孟巖實記 [종교·철학/유학]
맹암 김영렬의 수적과 사적을 모아 엮은 책이다. 석인본. 발문은 3건으로 1805년 후손 김세약과 정미년 족후손 김응환, 을유년 변시연이 각각 지었다. 적마년에 쓴 족후손 김정모의 서문과, 처음 문집을 간행했을 당시 1805년에 책머리에 올랐던 문집서문으로 울산김씨
맹자 / 孟子 [종교·철학/유학]
사서류(四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0.1×12.9cm, 반곽은 16.7×10.8cm이다. 표제는 동판사서집주(銅版四書集註), 판심제는 맹자(孟子)이다. 권수는 5권 1책이다. 권삼현신(權參鉉信)이 원형
맹자언해 / 孟子諺解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사서류(四書類). 선조(宣祖) 명찬. 목판본, 규장각 1820년(순조 20) 14권 7책. 표제는 맹해(孟解)이다. 간기는 경진(庚辰, 1820) 신간내각장판(新刊內閣藏板). 선조의 명으로《맹자》의 원문에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