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매화사 / 梅花詞 [문학/고전시가]
조선 고종 때 안민영(安玟英)이 지은 시조. 모두 8수의 연시조로 작자의 개인 가집인 『금옥총부 金玉叢部』에 수록되어 있고 『가곡원류 歌曲源流』의 여러 이본들에 두루 실린 것으로 보아 당시 널리 향유된 노래로 보인다. 작자가 1870년(고종 7) 겨울에 스승인 박효관(
매화산 / 梅花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원주시 소초면과 횡성군 우천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85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차령산맥에 속하는 치악산계(雉岳山系)의 산으로서, 남서쪽에 치악산계 최고봉인 비로봉(飛盧峰, 1,228m)을 비롯하여 남대봉(南臺峰, 1,182m), 동쪽에 삿갓봉(1,030
매화외사 / 梅花外史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문인 이옥(李鈺)의 시문집. 33장. 필사본. 『매화외사』는 권두에 목록과 전(傳) 11편, 잡저 5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권말에 김려의 「제매화외사권후」가 붙어 있다. 주목할만한 전은 「포호처전(捕虎妻傳)」·「수칙전(守則傳)」·「문묘이의복전(文廟二義僕傳
매화전 / 梅花傳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 필사본. 이 작품은 국내를 지리적 배경으로 삼고, 여주인공 매화와 남주인공 양유의 결연담을 다룬 애정소설이다. 작품 전개에 도술적 기능이 크게 작용하고 있으므로 도술소설이라고도 한다. 이 작품은 도사의 도술내
매화타령 / 梅花打令 [문학/고전시가]
십이가사의 하나. 이 노래가 언제부터 12가사의 수구(首句)로 불렸는지의 연대는 자세히 알 수 없고 대개 조선 후기로 추측하고 있다. 장단은 4분의 6박자이고 리듬은 경쾌하다. 6박자의 8마디가 한 연(聯)을 이루며 모두 13연(마루)으로 분장(分章)된다. 1연의 첫째
맥문동 / 麥門冬 [과학/식물]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맥문동이라는 이름은 굉맥(0x956e麥)과 같아서 붙여진 것이라고도 하며, 그 뿌리가 보리의 뿌리와 같은데 수염뿌리가 있어서 붙여진 것이라고도 하고, 부추의 잎과 비슷하고 겨울에도 살아 있어서 불리게 된 것이라고도 한다. 고려 때 이두
맥수가 / 麥秀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고대가요. 『사기(史記)』에 실려 전한다. 기자(箕子)가 은(殷)나라의 도읍을 지나며 보니 고국은 망하였고 옛 궁실은 폐허만 남아 보리밭이 되어 있었다. 이에 감개하여 탄식하며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노래를 보면, “보리 이삭은 점점 자라고/벼와
맥아더 / McArthur, Douglas [정치·법제/국방]
1880-1964 미국의 군인. 1903년 육군사관학교 수석졸업 후 30년에 육군대장이 되었다. 1941년 미국 극동사령관으로 필리핀에서 근무하다가 태평양전쟁을 맞았다. 1942년 가을부터 반격을 시작해 1945년 7월 필리핀을 탈환했다. 1950년 6.25전쟁이 일어
맥주 / 麥酒 [생활/식생활]
보리·홉(hop)을 주원료로 하는 양조주. 보통의 맥주는 알코올 함량 약 4% 정도인 황금색의 투명한 액체로 탄산가스를 함유하고 있으며, 백색 크림형의 거품을 특징으로 한다. 기본적인 제조공법은 보리를 싹 틔운 맥아(麥芽)와 홉을 물로 추출하여 맥아즙을 만들고 여기에
맨드라미 / Celosia cristata L. [과학/식물]
비름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꽃이 흡사 수탉의 벼슬과 같다고 하여 계관화(鷄冠花)라고도 하는데, 조선 초기의 이두어로는 백만월아화(白蔓月阿花)·백만월아비(白蔓月阿比)로 불리었다. 학명은 Celosia cristata L.이다. 열대지방이 원산지로서 관상용으로 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