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 박영희 / 朴英熙 [문학]

    1901년∼미상. 시인·소설가·평론가. 1921년에 귀국하여 종합교양지《신청년》, 시 전문지《장미촌》의 동인으로 활약, 1922년에는《백조》 동인이 되기도 하였다. 1924년에는 개벽사에 입사하였고, 그해 10월 신경향파 문학단체인 파스큘라를 결성하였으며 1925년 카

  • 박은식 / 朴殷植 [역사/근대사]

    1859-1925. 한말·일제강점기의 학자·언론인·독립운동가. 성리학과 위정척사사상에서 개화사상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1898년에 독립협회에 가입해 회원이 되었다. 그 해 11월의 지식인들이 중심이 된 만민공동회에서는 문교부장급 간부로 활동하였다. 신민회의 원로회원으

  • 박장현 / 朴章鉉 [종교·철학/유학]

    1908년(융희 2)∼1940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사학자. 부친 박재범과 모친 창녕성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 송준필 등의 선대유학자들에게 가르침을 구한 뒤, 유교의 재건을 목표로 학문에 진력하였다. 1939년 일본 이송학사전문학교에서 유학하면서, 우찌다[內田

  • 박중빈 / 朴重彬 [종교·철학/원불교]

    1891-1943. 항일기의 원불교의 교조이며 대종사(大宗師). 자는 처화(處化). 호는 소태산(少太山). 전남 영광에서 출생. 1916년 4월 28일 대각을 이루었다고 하는데, 뒤에 이 날을 원불교의 개교일로 정하였다. 1924년 전라북도 익산군에서 불법연구회를 조직

  • 박헌영 / 朴憲永 [정치·법제/정치]

    1900년∼1955년. 공산주의 운동가. 충남 예산 사람. 1919년 경성고보를 졸업하고 3.1운동 후 상해로 건너가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에 입당했다. 192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극동인민대표자대회에 참석한 후, 김단야, 임원근과 함께 국내침투를 시도하다 신의주에서

  • 박희도 / 朴熙道 [교육]

    1889년(고종 26)∼1951년.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 해주 의창학교 보통과와 고등과 졸업, 1904년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협성신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퇴하고 중앙유치원과 영신학교를 설립하여 교감이 되었다. 1916년 6월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지금의

  • 반도의 무희 / 半島의舞姬 [예술·체육/무용]

    1936년 최승희(崔承喜)가 주연으로 출연한 영화. 유아사 카츠에[湯淺克衛] 원작의 「반도의 무희」는 무대연출가이자 초대 문화청장관을 지낸 곤 히데미[今日出海]가 감독을 맡고, 주연은 최승희, 센다 고레야[千田是也], 우스다 켄지[薄田硏二], 시마다 케이치[島田敬一]가

  • 반도지광 / 半島之光 [언론·출판/언론/방송]

    1921년 9월 10일 평양신학교 학우회에서 편집 발행한 회지. 국한문 혼용으로 내리 편집한 기독교 월간지이며, 논단, 종교, 교육, 실업, 학술, 문예, 철학 등 각 분야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 반만년간조선기담 / 半萬年間朝鮮奇譚 [문학/구비문학]

    1922년에 발행된 편자 미상의 설화집. 1책. 186면. 한글활자본. 내용은 주로 신화·전설·민담을 망라한 104편을 게재하고 있다. 한문으로 된 조선조 야담집에 수록된 내용도 더러 있으나, 구전된 설화로서 한글로 출판된 것으로는 효시가 아닌가 생각된다. 전체의 내

  • 방정환 / 方定煥 [교육/교육]

    항일기의 아동문학가(1899∼1931). 1920년 일본 동양대학 철학과에 입학하여 아동예술과 아동심리학을 연구하였다. 1922년 5월 1일 ‘어린이의 날’을 제정하였고, 1923년 3월 아동잡지《어린이》를 창간하였다. 1928년 ‘세계아동예술전람회’를 개최하였다.

페이지 / 21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