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만포 / 滿浦 [지리/자연지리]

    지명. 평북(平北) 강계군(江界郡)에 위치한 곳으로 선초(鮮初)에는 만포구자(滿浦口子)라 불렀고, 세조대(世祖代)에 만포진(滿浦鎭)이라 하였다. 만포(滿浦)는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여진족(女眞族) 중 올량합(兀良哈)의 토황성(土黃城)을 마주보고 있었으므로 방어의 요

  • 만포선 / 滿浦線 [경제·산업/교통]

    평안남도 순천과 만포 사이에 부설된 철도. 순천을 기점으로 중평(中坪)-용원(龍源)-개천(价川)-구장(球場)-북신현(北新峴)-구현(駒峴)-고인(古仁)-운송(雲松)-전천(前川)-별하(別河)-강계(江界)-안찬(安贊)-건하(乾下) 등을 거쳐 만포에 이르는 총연장 212.6㎞

  • 만포진 / 滿浦鎭 [지리/인문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만포읍에 있었던 국경요진(國境要鎭). 중국 집안(集安)과 마주하고 있었으며 압록강 남안에 위치하였다. 병마첨절제사(兵馬僉節制使)가 있었고, 군인은 모두 1,237인이 배치되어 있었으며, 여진과 접하고 있는 까닭에 여진어통역관이 한 사람 배치되어 있었다.

  • 만포호 / 晩浦湖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흥군 노서면에 있는 석호(潟湖). 호수둘레 약 11㎞, 면적 약 7㎢이다. 두만강 하구역의 비교적 넓은 해안평야를 형성하고 있는 만이었던 곳의 입구에서 동해안 연안류의 영향으로 좁고 긴 사주가 발달하면서 만의 입구를 막으면서 바다와 분리되고 나서 생긴 호수이

  • 만풍호 / 滿豊湖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구성군 관서면(지금의 천마군)에 있는 호수. 넓이 12.85㎢. 천마산(天摩山,1,169m)에서 발원하여 감입곡류하면서 피현군과 신의주시, 용천군에서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삼교천(三橋川)을 막아 생긴 호수이며, 압록강의 수계에 속하는 대하저수지, 동림군의 매봉저

  • 만하몽유록 / 晩河夢遊錄 [문학/한문학]

    1907년김광수(金光洙)가 지은 한문소설. 1책(140면). 석인본. 작자의 문집 ≪만하유고 晩河遺稿≫에 수록되어 있다. 몽유록 유형의 한문소설이며, 6회의 장회(章回)로 구성되어 있다. 이 소설의 본래의 명칭은 ‘몽유록’으로 되어 있으나, 다른 몽유록 작품과 구별하기

  • 만호 / 萬戶 [정치·법제/국방]

    고려·조선 시대 외침 방어를 목적으로 설치된 만호부의 관직. 만호는 본래 그가 통솔하여 다스리는 민호의 수에 따라 만호·천호·백호 등으로 불리다가 진장(鎭將)의 품계와 직책 등으로 변하였다. 고려 충렬왕 때 포도와 금란을 맡아보던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에 도만호·만호

  • 만호부 / 萬戶府 [정치·법제/국방]

    고려 후기 원나라의 영향을 받아 설치된 군사조직. 만호·천호·백호 등 십진법에 의한 군대편제는 북방의 유목민족에게서 공통적으로 보이며, 특히 원나라에서 두드러지게 발달하였다. 만호부가 고려에 처음 설치된 것은 일본 정벌의 실패 직후인 1281년이었다. 이후 1388년

  • 만화단석 / 滿花單席 [정치·법제]

    꽃 문양이 들어간 단석. 단석은 홑겹으로 만든 자리를 말한다. 만화단석은 가례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하였다. 꽃문양이 들어간 단석을 연화단석, 채화단석이라고 하였다.

  • 만화본춘향가 / 晩華本春香歌 [문학/한문학]

    1754년(영조 30) 유진한(柳振漢)이 지은 한시로 된 춘향가. 작자의 문집인 『만화집 晩華集』에 실려 있다. 원제목은 ‘가사 춘향가 이백구(歌詞春香歌二百句)’로 되어 있으나 보통 ‘만화본 춘향가’라 일컫는다. 판소리 「춘향가」를 직접 듣고 칠언장시(七言長詩)로 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