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만전춘 / 滿殿春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속요. 『악장가사』에 실려 있다. 모두 5연으로 되어 있으나 그것을 아우르면서 종결짓는 결사(結詞)가 마지막에 추가되고 있어 이것을 독립된 연으로 볼 경우 6연이 된다. 각 연은 형식상으로 불균형을 보이고 있고 시어(詩語)도 이질적이며 의

  • 만제록 / 輓祭錄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4.7×13.7cm이다. 표제는 만제록(輓祭錄)이다. 만사(輓詞)를 기록한 책으로 ‘己亥十二月十七日葬詩輓祭集’으로 본문이 시작된다.

  • 만종 / 晩種 [예술·체육/무용]

    조택원의 대표적 현대 무용. 쇼팽의 야상곡, 밀레의 만종을 가지고 우리 농촌을 그려낸 현대무용으로 무용시 형식의 남녀 2인무 작품이다. 조택원의 상대역은 박외선(朴外善)이다. 19세기 사실주의 화가인 밀레(Jean Francois Millet)의 그림 ‘만종’(晩鐘)은

  • 만종법 / 漫種法 [경제·산업/산업]

    밭작물을 파종할 때 토양의 지형조건을 기준으로 하는 파종법. 현대적 파종법은 종자를 기준으로 파종된 모양이 직선을 이룰 때는 줄뿌림[條播], 점상을 이룰 때는 점뿌림[點播], 흩어졌을 때는 흩어뿌림(散播), 2개 이상의 씨앗을 섞어 뿌릴 때는 섞어뿌림[混播] 등으로 부

  • 만종일련 / 萬宗一戀 [종교·철학/개신교]

    비교종교론서. 최병헌이 세계종교와 민족종교를 기독교적 입장에서 비교한 책이다. 본래 1916년부터 1920년까지 <신학세계>에 '종교변증설(宗敎辨證說)'이란 제목으로 연재된 것을 1922년 조선예수교서회에서 다시 발행하였다. 저자는 동양종교와 기독교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 만주시인집 / 滿洲詩人集 [문학/고전시가]

    1942년에 유치환(柳致環), 함형수(咸亨洙) 등 시인 11인이 간행한 합동 시선집. 『만주시인집』은 『재만조선시인집(在滿朝鮮詩人集)』과 함께 만주 지역 조선족 문단을 대표하는 최초의 합동 시선집이다. 『만주시인집』에는 유치환(「편지」·「귀고(歸故)」·「하얼빈도리공원(

  • 만취일고 / 晩翠逸稿 [종교·철학/유학]

    만취 김개국의 문집. 목판본, 서:대산 이상정(1774), 3권1책. 만취당일고 는 만취당의 5대손인 상규가 1774년(영조50)에 편차해서 펴낸 것이다. 권1에 세보,시ㆍ만사 52수, 제문 4편, 권2에 기 2편, 부록으로 가장ㆍ묘갈명ㆍ묘표ㆍ묘지명ㆍ제문 각 1편,

  • 만취정유고 / 晩翠亭遺稿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 박영석(朴永錫)의 시문집. 불분권 1책. 필사본. 서·발이 없어 편집경위는 알 수 없다. 사(辭) 2편, 가(歌) 2편, 시 123수, 기(記) 2편, 서(序) 2편, 논(論) 2편, 설(說) 5편, 묘표(墓表) 1편, 제문 4편, 잡저 7편,

  • 만탑산 / 萬塔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단천군 북두일면·남두일면과 풍산군 천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03m. 북쪽으로 약 15㎞ 지점에 검덕산(劍德山, 2,150m)이 있다. 이 두개의 봉우리는 남북으로 길게 연결되어 있는데 동쪽 사면은 거의 절벽에 가까운 급경사로 크고 작은 바위들이 계곡

  • 만파식적설화 / 萬波息笛說話 [문학/구비문학]

    신라시대 용으로부터 영험한 대를 얻어 피리를 만들었다는 내용의 설화. 신이담(神異譚)에 속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紀異) 만파식적조와 『삼국사기』 권32 잡지 제1 악조(樂條)에 실려 있다. 나라에 근심이 생길 때 이 피리를 불면 평온해져서, 만파식적이라 이름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