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의암호 / 衣巖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춘천시에 둘러 싸여 있는 호수. 의암호는 북한강 중류 수계에 있는 인공호이다. 호수면은 너비 5㎞, 길이 8㎞의 타원형으로 수면 면적은 만수위대 15㎢이고 호수면의 수위는 해발 72m이고, 유역 면적은 7,709㎢, 총 저수용량 8,000만t이다. 1967년 4
이명수폭포 / 鯉明水瀑布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혜산군 보천면 포대리(지금의 양강도 삼지연시 이명수노동자구)에 있는 폭포. 높이 15m, 너비 27m. 5개의 폭포로 되어 있는데 지하수 폭포이다. 이 폭포는 삼포산(三浦山, 1,503m)에서 발원한 이명수가 흐르는 골짜기의 산중턱에 있는데 지하수의 흐름맥에서
이수도 / 利水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시방리에 있는 섬. 동경 128°42′, 북위 34°53′에 위치하며, 시방리 해안에서 동쪽으로 0.6㎞ 지점에 있다. 면적은 0.04㎢이고, 해안선 길이는 2.6㎞이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10명(남 59명, 여 51명)이 거주하고 있
이원만 / 利原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이원군 이원면과 차호읍 사이에 있는 만. 함경선이 만안(灣岸)을 따라 달리며 남대천이 만으로 흘러든다. 만의 연안에는 함경산맥의 여맥이 뻗어 있어, 취덕산(鷲德山, 1,001m)·마운령(摩雲嶺)·대덕산(大德山, 1,462m)·궐령(蕨嶺) 등의 산지가 높이 솟아
이진만 / 梨津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부령군 관해면 소청동에서 삼해면 가진동 사이에 있는 만. 동쪽에 돌출한 화단반도(花端半島)에 의하여 낙산만(洛山灣)과 분리되고, 서쪽은 수평동의 비소단반도(非所端半島)에 의하여 형성된 만으로 만구의 너비는 약 6.5㎞이다. 소청천(素淸川)이 관해면과 삼해면의
이천분지 / 伊川盆地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이천군의 남서부에 있는 분지. 동서 거리는 30㎞, 남북 거리는 25㎞, 면적은 548㎢이다. 경지는 군 면적의 30%가량을 차지하는데 이중 논이 17%, 밭이 80%이고 3%는 과수원 등이다. 주요 농산물은 논벼를 비롯하여 보리·밀·옥수수·감자 등이며 잎담배·
이화령 / 梨花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사이에 있는 고개. 이화령의 높이는 548m이고, 소백산맥의 조령산(鳥嶺山, 1,017m)과 갈미봉(葛味峰, 783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동쪽사면은 조령천(鳥嶺川)의 곡구(谷口)인 진안리에서 서쪽으로 분기하는
익산 천호동굴 / 益山 天壺洞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익산시 여산면 태성리에 있는 석회동굴. 천연기념물 제177호. 주굴(主窟) 250m, 총연장 600m. 일명 바람굴이라고 한다. 이것은 여름에는 서늘한 바람이 밖으로 뿜어나오고 겨울에는 훈훈한 바람이 불어나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좁고 험한 굴 입구를 들
인왕산 / 仁王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누상동·사직동과 서대문구 현저동·홍제동에 걸쳐 있는 산. 조선 개국 초기에 서산(西山)이라고 하다가 세종 때부터 인왕산이라 불렀다. 인왕이란 불법을 수호하는 금강신(金剛神)의 이름인데, 조선왕조를 수호하려는 뜻에서 산의 이름을 개칭하였다고 한다
인왕산 수성동 계곡 / 仁王山水聲洞溪谷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종로구 옥인동 인왕산 동쪽에 있는 계곡. 2010년 10월 21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수성동 계곡은 조선시대에 선비들이 여름철에 모여 휴양을 즐기던 계곡으로 잘 알려져 있다. 겸재 정선이 그린 『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의 「수성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