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유적 > 유적(일반) 1,69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유적 > 유적(일반)
  • 당진향교 / 唐津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당진시 읍내동에 있는 향교. 1407년(태종 7)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여러 번 중수하였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동재(東齋)·서재(西齋)·내삼문(內三門)·제기고(祭器庫) 등이 있다

  • 대각사 / 大覺寺 [종교·철학/불교]

    부산광역시 중구 신창동에 있는 절. 사단법인 화쟁교단(和諍敎團)의 중심사찰이다. 1894년에 창건되었으며, 당시에는 인법당(人法堂)만 있었다. 근래에 주지 경우가 건평 3,300여 평의 큰 법당을 건립하고 고려 말의 삼존불상을 모시게 되어 가람의 면모를 갖추었다. 중요

  • 대계서원 / 大溪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에 있던 조선시대 서원. 1657년(효종 8) 지방유림의 공의로 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 서원은 중앙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훼철과 복설이 거듭되었다. 1691년(숙종 17)에 안방준 사우에 대한 훼

  • 대관령 옛길 / 大關嶺─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 어흘리에 있는 명승. 대관령 옛길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이래 영동과 영서를 잇는 교역로이자 교통로로서, 대관령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더불어 옛길의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2010년에 명승 제74호로 지정되었다. 강릉단오제의 첫 제례는 대관령 옛길에

  • 대구달성동유적 / 大邱達城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동 달성공원에 있는 원삼국시대의 생활유적 위에 삼국시대의 토성이 자리잡은 유적. 원삼국시대의 유적은 1917년 일본인 도리이(鳥居龍藏)에 의해 토성의 동쪽 입구, 북쪽 성벽 밑, 토성 내의 중심부, 그리고 북쪽 성 바깥으로 이어지는 구릉에서 처음 발

  • 대구대봉동지석묘 / 大邱大鳳洞支石墓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분포되어 있는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대봉동고인돌은 대체로 남북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고인돌의 장축도 모두 남북으로 되어 있다. 굄돌〔支石〕의 유무에 의해 유지석식(有支石式)과 무지석식(無支石式)으로 구분된다. 대봉동고인돌은 최초의

  • 대구만촌동유적 / 大邱晩村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동구 만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과 초기철기시대의 유적. 세형동검(細形銅劍)·동과(銅戈) 등이 일괄 출토되었다. 대구시 동구 만촌동에서 금호강안의 동촌유원지 주변 주차장 정지작업중에 다량의 청동기가 발견된 유적으로, 금호강변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하고 있는데

  • 대구비산동청동기일괄 / 大邱飛山洞靑銅器一括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비산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말기와 철기시대 초기의 분묘 유적. 1956년 이 지역의 와룡산 기슭에서 주민이 우연히 발견한 것으로 직경 5-6m 쯤 되는 범위 안에서 각종 청동기와 철기가 발견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세형동검(細形銅劍) 5점, 동투겁창(銅矛)

  • 대구산격동유적 / 大邱山格洞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연암산(燕巖山)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문화 유적. 1962년 처음 발견되었고 그 뒤 여러 번 지표조사가 있었으나 유구는 찾지 못하였고 많은 석기와 토기조각이 발견되었을 뿐이다.석기는 돌검·화살촉·돌칼·대팻날·끌·도끼·자귀·숫돌·칼자루끝장식

  • 대구월성동주거지 / 大邱月城洞住居址 [역사/선사시대사]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유적. 유적은 대구 분지의 남쪽에 솟은 대덕산(大德山)에서 대략 서쪽으로 낙동강을 향해 뻗은 산괴가 끝나는 부위에 소재한 한 구릉의 서남 기슭에 있다. 유적의 남서쪽 선상지(扇狀地)에는 고인돌 떼가 분포하고 있다. 1

페이지 / 170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