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현대 > 현 대 총 4,70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현대 > 현 대
금오산도립공원 / 金烏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구미시·김천시·칠곡군 지역에 걸쳐 있는 도립공원. 금오산도립공원의 면적은 39.91㎢로, 1970년 6월 1일에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산 자체의 관광성도 훌륭하지만 무엇보다도 경부간의 철도와 고속도로의 이용으로 접근이 매우 쉽다. 그리고 공
금오집 / 金烏集 [종교·철학/불교]
해방 이후의 승려 태전의 법문·게송·행장 등을 모아 엮은 불교서.법문집. 1책. 권두에 진영(眞影)과 진영찬, 부도사진, 유품·필적 등의 사진과 향곡(香谷)이 쓴 서문 등이 있다. 내용은 법문 20편과 게송·행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법문 중 「불타는 집」에서는 육신에
금원산 / 金猿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과 북상면, 함양군 안의면에 걸쳐 있는 산. 소백산맥의 서부에 속하는 산으로, 높이는 1,353m이다. 남으로 기백산(1,331m)과 남령을 거쳐 남덕유산(1,507m)과 이어진다. 단지봉(丹芝峰, 1,258m), 삼봉산(三峰山, 1,234m),
금잔디 / 金─ [문학/현대문학]
김소월(金素月)이 지은 시. 단연 9행의 시로, 1922년『개벽』 1월호(통권 19호)에 발표되었다. ‘금(金)잔듸’라는 큰 제목으로 「엄마야 누나야」·「부헝새」·「ᄭᅮᆷ」·「첫치마」 등 10편의 작품도 함께 싣고 있다. 이 가운데 「달맞이」를 제외하고는 모두 2·4행
금정구 / 金井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의 북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기장군, 서쪽은 북구, 남쪽은 동래구와 해운대구, 북쪽은 양산시와 접한다. 동경 129°02′∼129°08′, 북위 35°12′∼35°18′에 위치한다. 면적은 65.27㎢이고, 인구는 24만 6026명(2015년 현재)이다. 행
금정산 / 金井山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금정구와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는 800.8m이다. 태백산맥이 남으로 뻗어 한반도 동남단 바닷가에 이르러 솟은 명산이다. 부산의 진산(鎭山)이다. 금정산은 낙동강과 수영강(水營江)의 분수계가 되는데, 최고봉은 북쪽의 고당봉(802m)이다
금진강 / 金津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정평군 고산면에서 발원하여 동해의 함흥만으로 흘러드는 강. 이 강의 유역면적은 885.7㎢이고, 유로연장은 본류가 90.8㎞이다. 군의 북단부에 위치하고 있는 황봉(黃峰, 1,736m)과 검산령(劍山嶺, 1,127m)에서 발원하여 고산면의 거의 중앙부를 따라
금천구 / 衿川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위치한 구. 동쪽은 관악구, 서쪽은 경기도 광명시, 북쪽은 구로구, 남쪽은 경기도 안양시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2'~126°55', 북위 37°25'~37°27'이다. 면적은 13.02㎢이고, 인구는 23만 6284명(2015년 현재
금천군 / 金川郡 [지리/인문지리]
황해도 동남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경기도와 강원도, 서쪽은 평산군, 남쪽은 연백군과 경기도 연천군·장단군·개풍군, 북쪽은 신계군과 강원도 이천군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6°14′∼126°56′, 북위 38°2′∼38°26′에 위치하며, 동서로 긴 편이다. 면적 95
금패령 / 禁牌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신흥군 하원천면과 풍산군 안수면 사이에 있는 고개. 금패령(禁牌嶺)의 해발고도는 1,676m로, 함경산맥의 희섭봉(希涉峰, 2,117m)과 그 남서쪽의 명당봉(明堂峰, 1,809m) 사이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남북방향의 고개로, 남사면은 성천강(城川江)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