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마천령산맥 / 摩天嶺山脈 [지리/자연지리]

    백두산에서 함경북도 성진 부근에 이르기까지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의 도계를 이루는 산맥. 이 산맥은 중앙부의 두류산(頭流山, 2,309m) 부근에서 함경산맥과 교차된다. 두류산에서 백두산까지의 북반부는 이 산맥 이름이 뜻하는 바와 같이, 우리 나라에서 가장 높은 산들이 모

  • 마천별곡 / 瑪川別曲 [문학/고전시가]

    1720년에 이섭(李涉, 1661∼1738)이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 일대의 경물과 심회를 읊은 강호가사. 총 73행 146구의 가사.「마천별곡」은 1720년(숙종 46) 마천(瑪川) 이섭이 세거지(世居地)인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마애리 일대의 경물과 심회를 읊은 강호

  • 마탁 / 馬鐸 [예술·체육/공예]

    삼국시대의 마구(馬具). 말의 고들개와 밀치끈에 매달았던 장식용의 방울이다. 전체적인 형태는 횡단면이 타원형 또는 마름모꼴이며 종단면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상부에는 매달기 위한 고리[鈕]가 달려 있으며, 내부에는 봉상(棒狀)의 설(舌)이 달려 있어 소리를 낸다.중국 한

  • 마탄강 / 馬灘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맹산군 애전면과 영원군 덕화면과의 경계에 있는 횡천령(橫川嶺, 1,062m)에서 발원하여 북부지역을 남서류하여 대동강 상류로 흘러드는 강. 마탄강은 심한 감입곡류(篏入曲流)를 하면서 대동강의 상류로 흘러드는데, 이 지점에서는 경사가 급한 곳이 많아 비탄(飛灘)

  • 마튜닌 / H. Г. Ma тюнин [정치·법제/외교]

    1849-1907. 주한 러시아 공사. 마튜닌은 1897년 왕립 알렉산드롭스끼 귀족학교 동창인 다쉬꼬프를 통해서 외무대신 무라비요프를 접견하였다. 1897년 11월 주한 러시아공사로 임명되었다. 1898년 8월 13일 호주 멜버른 총영사로 전임되었고, 1898년 12월

  • 마패 / 馬牌 [정치·법제/법제·행정]

    역마의 지급을 규정하는 패. 조선시대에는 공무로 출장가는 관원은 주로 역마를 이용하였다. 이 때 상서원으로부터 발급하는 마패를 증표로 삼았다. 마패의 한 면에는 대소 관원의 등급에 따라 마필의 수효를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자호(字號)와 연·월 및 상서원인(尙瑞院印)

  • 마포 / 麻浦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 지역에 있었던 포구. 서울의 중서부 한강연안에 위치하여 안산에서 갈라진 와우산 구릉산맥과 노고산 구릉산맥, 용산 구릉산맥이 한강으로 뻗어 세 산맥연안에 호수처럼 발달한 서호, 마포, 용호가 있었는데, 이 세 호를 삼개(三浦·3개의 포구)라고 불

  • 마포구 / 麻浦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중서부 한강 하류 연안에 위치한 구. 동쪽으로는 용산구, 서쪽으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북쪽으로는 서대문구, 남쪽으로는 한강과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53'∼127°57', 북위 37°31'∼37°35'이며, 면적은 23.84㎢, 인구는 38만

  • 마포대교 / 麻浦大橋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연결하는 다리. 1970년에 준공되었다. 마포쪽으로는 6차선 폭으로 연결되고 용산·서교동 방면으로는 2차선으로 접속되었으며, 3층 구조의 클로버 잎사귀형 입체교차로가 설치되었다. 하부공은 우물통 또는 철근콘크리트 파일기초로

  • 마황 / 麻黃 [과학/식물]

    마황과에 속하는 초본성 관목인 풀마황·쇠뜨기마황·중마황의 전초(全草)를 말린 약재. 원산지는 중국의 동북부와 몽고지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수입하여 사용한다. 약효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주성분은 엘-에페드린과 디-슈도에페드린이다. 약성은 온화하며, 맛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