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유구천 / 維鳩川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공주시·예산군·아산시의 경계인 봉수산(鳳首山, 534m)에서 발원하여 남서류하여 금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로연장 40㎞. 차령산맥 서사면의 물을 모아 남쪽으로 유구면·신풍면·사곡면·우성면 일대를 지나 금강으로 흘러든다. 유구천은 높이 약 400m 이상의 봉우
유달산 / 儒達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대반동·온금동·북교동에 걸쳐 있는 산. 유달산은 목포 시민의 공원일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명소로 알려져 있어 전국에서 모여드는 관광객이 많다. 1982년부터 유달산 공원화가 추진되어 유달공원, 난공원, 달성공원, 조각공원 등이 있다. 서쪽 사면은
유부도 / 有父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송림리에 있는 섬. 동경 126°36′, 북위 35°48′에 위치하며, 금강 하구에서 6.5㎞ 떨어져 있다. 북쪽에는 유자도(有子島)가 있다. 면적은 0.77㎢이고, 해안선 길이는 4.2㎞이다. 섬 서쪽으로 군산항 북측도류제가 건설되어 있다. 2
육백산 / 六百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에 있는 산. 높이는 1,244m이다. 황조리ㆍ신리ㆍ무건리에 걸쳐 있으며, 태백산맥의 여맥인 해안산맥(海岸山脈) 중의 한 산으로, 북쪽에는 두리봉(頭理峯, 1,072m), 서쪽에는 대덕산(大德山, 1,301m), 남서쪽에는 백병산(白屛山, 1,259
육십령 / 六十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과 전라북도 장수군 계남면 사이에 있는 고개. 호남과 영남을 연결하는 주요한 고개로 도계표시가 서 있다. 높이는 734m이다. 육십령은 거창을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북부지역과, 진안을 거쳐 전주에 이르는 전라북도 동부지역을 잇는 교통의 요지이며,
은파천 / 銀波川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평산군(지금의 황해북도 인산군과 평산군)에 걸쳐 있는 멸악산(滅惡山, 818m)에서 발원하여 은파군에서 서흥강과 합류하는 강. 길이 71.8㎞, 유역넓이 360㎢. 언덕평야를 흐르는 강으로 강바닥의 물살이 느리며, 주로 석회암·점판암·자갈 등으로 되어 있다. 산
은파호 / 銀波湖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봉산군, 재령군, 벽성군(지금의 황해북도 은파군과 황해남도 재령군·신원군)에 걸쳐 있는 호수. 넓이 26.64㎢, 둘레 131.7㎞. 이 호수에는 은파천 등이 흘러들며, 물은 은파군과 황해남도의 10여 개 군의 넓은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며, 전력생산을 위한
을숙도 / 乙淑島 [지리/자연지리]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에 속하는 섬. 갈대와 수초가 무성하고 어패류가 풍부하여 한때는 동양 최대 철새도래지였다. 1987년 하굿둑 건설 이후 낙동강 하구역 일대는 매우 빠른 지형·수문·생물 등 자연환경에 변화가 나타났다. 2005년에 철새 도래지인 을숙도 일원의 낙동
응복산 / 鷹伏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홍천군 내면과 양양군 서면·현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360m. 태백산맥의 여맥인 해안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서쪽에는 암산(巖山, 1,153m), 서쪽에는 약수산(藥水山, 1,306m), 남쪽에는 만월봉(滿月峰, 1,281m), 서쪽에는 복룡산(伏龍山,
의성 빙계리 얼음골 / 義城氷溪里─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빙계리의 빙혈과 풍혈이 있는 골짜기. 2011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 제527호로 지정되었다. 빙계리 얼음골은 동굴형 풍혈에 해당한다. 삼복더위에는 차디찬 물이 솟아나고, 엄동설한에는 더운 물이 흘러나오는 곳으로 유명하다. 등산로를 따라 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