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마르크스주의 역사학 / Marx主義歷史學 [교육]
일제의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항하여 마르크스의 사적유물론에 입각, 한국사를 연구한 역사연구의 총칭. 1920년대 후반 이후 반식민주의 역사학의 지평을 크게 확장시켰다. 대표적 학자는 백남운, 이청원, 김광진, 이북만 등이며,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을 우리나라 근대사학의 한
마름 / 마름 [사회/사회구조]
지주로부터 소작지의 관리를 위임받은 관리인. 조선시대부터 소작제를 통한 토지 경영방식은 지주가 직접 소작인을 관리하거나, 일정한 대리 감독인을 두어 간접적으로 관리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었다. 전자는 주로 중소 지주가 본인 또는 가족의 힘만으로 그 관리를 수행할 수
마리아콤플렉스 / 마리아콤플렉스 [예술·체육/무용]
낙태 문제에 대해 현대무용가 박인숙이 1991년 발표한 작품. 현대무용가 박인숙이 1991년 초연한 작품으로 낙태 문제를 주제로 70여 분 동안 극적인 전개를 보인다. 무용과 함께 대본, 음악, 무대장치, 영상 등이 어우러진 토탈시어터를 시도하였다. 함께 작업했던 예술
마마배송굿 / ─拜送─ [종교·철학/민간신앙]
제주도에서 천연두(天然痘)를 물리치기 위해 행하는 굿. 천연두에 걸렸을 때는 좋게 빌고 돌려보내야 탈이 없다는 믿음에서 유래된 듯하다. 큰마누라와 작은마누라가 다투는 이야기는 마마배송굿을 할 때에 부르는 할망본풀이에 전해진다. 마누라는 3월 4일에 내리고 5월 만부종
마미립 / 馬尾笠 [생활]
말총으로 만든 흑립. 조선 초기에는 당상관 이상이 착용하였으나 후에는 구분 없이 사족들의 대표적 쓰개가 되면서 양태의 크기와 모옥의 높이 등에 변화가 있었다. 연산군 4년 6월에는 입자 착용에 대한 구분이지켜지지 않자 말총으로 만든 마미립 착용을 금지하기도 하였다.
마부 / 馬夫 [사회/사회구조]
말을 타고 갈 때에 고삐를 잡고 앞에서 끌거나 뒤에서 따르는 일을 하는 직업인. 마부들은 자기 손님을 즐겁게 하려고 이른바 말광대굿을 벌이기도 하였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말을 타고 다니는 일이 없어지자, 마부들은 달구지나 마차를 마련, 짐을 나르는 일에 종사하였다.
마산가을포봉수대 / 馬山─浦烽燧臺 [경제·산업/통신]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동면에 있는 봉수대. 경상남도기념물 제169호. 가을포 봉수대는 진동면 광암마을 뒷산 7부 능선(125m)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지름 13m, 높이 2∼3m의 자연석축 담장이 원형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화덕 1기가 복원
마산농청놀이 / 馬山農廳─ [생활/민속]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중앙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6호. 마산농청놀이는 예전부터 창원지방에 전래해온 민속놀이로서, 그 연원은 두레에 있을 것으로 본다. 고대의 원시공동체에서 전래된 두레가 중부 이남지방에 있었는데, 두레의 표지기
마산데모사건 / 馬山데모事件 [사회/사회구조]
3.15부정선거에 항의하여 일어났던 마산 시민데모대와 경찰의 충돌사건. 1960년 3월 15일 이른바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민, 학생으로 이루어진 평화적 데모대는 경찰의 무차별 발포와 체포, 격분하여 남성파출소를 비롯한 경찰관서와 국회의원 및 경찰서장 자택을 습격, 8
마산도 / 馬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매화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77명(남 44명, 여 33명)이고, 세대수는 36세대이다. 취락은 3개 섬에 각각 분포하며, 섬 중심지는 북서쪽에 위치한 마산마을이다. 1710년(숙종 36) 무렵 나주에 살던 금성정씨가 태풍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