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리듬체조 / ─體操 [예술·체육/체육]

    줄·공·곤봉 등의 기구를 들고 리듬에 맞추어 동작을 표현하는 여자 체조경기.기구체조. 줄·후프(hoop)·공·곤봉·리본 등의 기구를 사용하여 사방 12m의 경기장에서 리듬에 맞추어 동작을 표현하는, 예술적 가치가 풍부한 여성 체조경기(rhythmic gymnastics

  • 리비아대수로공사 / ─大水路工事 [경제·산업/산업]

    우리나라의 동아건설이 리비아에 건설중인 수로공사. 이 공사는 리비아 동남부 및 서남부 사막지대의 내륙으로부터 35조 톤(나일강의 수량을 200년 동안 공급할 수 있는 양)에 이르는 물을 지중해 연안으로 송수, 지중해 연안의 3억 6천 8백만 평(한반도 면적의 약 6배에

  • 리을무용단 / 리을舞踊團 [예술·체육/무용]

    1984년 한국무용가 배정혜(裴丁慧)가 창단한 창작무용단. 배정혜는 1974년부터 선화예술고등학교에 재직하면서 양성한 여러 제자들과 순수한 민간차원에서의 직업무용단 결성을 목표로 리을무용단을 창단하였다. 창단 목적은 안무가와 무용수의 전문적인 역할 분담, 재창조자로서

  • 마 / Dioscorea batatas DECNE [과학/식물]

    마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 한자어로는 서여(薯蕷) 또는 산약(山藥)이라고 한다. 학명은 Dioscorea batatas DECNE.이다. 덩굴성 초본식물로 줄기는 우선(右旋)하여 상행함으로써 타물체에 감기는 성질을 가진다. 잎은 길이 6∼12㎝의 잎자루와 난형의

  • 마감채 / 磨勘債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삼정문란 가운데 군정폐해로 볼 수 있는 불법적인 세부과. ≪경국대전≫ 병전에는 아버지 나이가 70세 이상이면 아들 1인의 병역을 면제해주고, 90세 이상이면 아들 모두를 면제, 아들이 죽었으면 손자 1인을, 친자손이 없으면 외손의 병역을 면제해주었다. 그러

  • 마건충 / 馬建忠 [정치·법제/외교]

    1845-1900. 중국 청말 양무파 관료. 임오군란 개입. 이홍장의 막료로 1882년 묄렌도르프와 조선에 들어온 인물이다. 1877년 곽숭동의 번역관으로 근무하면서 파리정치학원에 입학하여 학습하였다. 1879년에는 후임 공사 증기택의 번역관으로 근무하였다. 1882년

  • 마경초집언해 / 馬經抄集諺解 [언론·출판/출판]

    17세기경에 ≪마경대전≫과 ≪신편집성마의방≫에서 필요한 내용을 간추려 엮어 언해한 책. 2권 2책. 목판본. 간기(刊記)가 없기 때문에 이 책의 편찬자와 편찬경위 및 간행시기 등에 대하여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인조 때 이서(李曙)에 의하여 간행되었다는 주장이

  • 마경헌집 / 磨鏡軒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홍구연(洪九淵)의 시집. 1책. 목판본. 1635년(인조 13) 아버지인 무적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식(李植)의 서문이 있고, 시 192수와 부록으로 묘지명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대부분이 서정시로, 봄바람과 같이 온화하고 가을물과 같이 맑다

  • 마고자 [생활/의생활]

    저고리 위에 덧입는 덧옷. 마고자는 1887년 흥선대원군이 청나라의 유폐에서 풀려 돌아올 때 입고 온 만주사람의 마괘(馬褂)가 변하여 입게 된 옷으로 1917년 순종의 의대발기에 처음 보인다. ≪청회전 淸會典≫에 의하면 청나라 옷에는 포(袍)와 괘가 있는데, 괘는 포보

  • 마곡사동제은입사향로 / 麻谷寺銅製銀入絲香爐 [예술·체육/공예]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마곡사에 있는 고려시대의 향로. 높이 20.2㎝, 입지름 19.5㎝.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호. 몸통과 대좌가 별도로 만들어져 연결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작은 원반형(圓盤形) 장식이 있는 이 향로는 몸통 아랫부분의 배가 부르고 대좌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