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듸림부채 [경제·산업/산업]

    알곡에 섞인 까라기나 북더기를 날리는 데에 쓰는 큰 부채. 뼈대는 댓가지나 가는 통대로 얽고 앞뒤 양쪽에 한지를 여러 겹으로 발랐으며 한끝에 긴 자루를 붙였다. 그리고 자루와 몸 사이 한두 곳에 가로로 띠를 잡아매어서 힘을 받도록 하였다. 한 사람이 말 따위에 올라서서

  • 디딜방아 [경제·산업/산업]

    발로 디디어 곡식을 찧는 방아. 디딜방아가 언제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구려시대에 이미 사용되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고구려의 생활상을 묘사한 고구려의 고분벽화, 특히 안악 제3호분의 벽화에는 디딜방앗간의 장면이 잘 표현되어 있다. 따라서 그것

  • 디자인 / 디자인 [예술·체육/공예]

    형태·색채·재질·차원·비례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조형요소(또는 시각요소) 가운데에서 의도적으로 몇 가지를 선택하여 어떤 주어진 목적에 맞게 구성하는 창조활동. ‘설계하다’, ‘안(案)을 세우다’, ‘계획하다’, ‘밑그림을 그리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디자인은 이러한

  • 딘스모어 / Hugh A. Dinsmore [정치·법제/외교]

    1850-1930. 외교관. 정치인. 조선 주재 미국변리공사. 미국 상원의원. 1887년 월림엄 락힐에 이어 조선 주재 미국변리공사 겸 총영사로 취임하였다. 1890년 5월 신임 조선공사로 허드가 취임하면서 조선공사로서의 임무를 마쳤다.

  • 딱지꽃 / Potentilla chinensis SER. [과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높이는 30∼60㎝로 총생하며 뿌리가 굵다. 잎은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윗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솜털이 밀생하여 희게 보인다. 꽃은 황색으로 6, 7월에 핀다. 우리나라 각처에서 나며,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거풍·지혈·해독

  • 딱지치기 [생활/민속]

    종이로 만든 딱지를 땅바닥에 놓고 다른 딱지로 그 옆을 쳐서, 땅바닥의 딱지가 뒤집히거나 일정한 선 밖으로 나가면 따먹는 남자 아이들의 놀이. 딱지의 종류에는 두꺼운 종이를 접어 만든 것과 무늬나 그림이 인쇄된 종이를 오려낸 것의 두가지가 있다. 앞의 것은 어린이들이

  • [사회/가족]

    여자로 태어난 자식. 보통 생물학적 관계를 암시하는 이 말은 한 사회의 모든 여인에게 집단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또한, 여성의 일반적 성향을 전화하여 온유함·사랑스러움·부드러움·평화의 뜻으로 은유(隱喩)되기도 한다. 딸은 아들과 함께 부모의 신분적 위치에 따라 객관

  • 딸기 / Fragaria ananassa DUCHESNE [과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또는 그 열매. 한자로는 매(苺)·초매(草苺)라고 한다. 학명은 Fragaria ananassa DUCHESNE이다. 유럽 중부가 원산지이며, 우리 나라에는 1900년대 초엽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진다. 온도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여 적도

  • 땃두릅나무 / Echinopanax horridum (NON DECNE.) KOM. [과학/식물]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지리산 이북의 능선 가까운 전석지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이며 높이 2∼3m자란다. 원줄기는 갈라지지 않고 긴 가시가 밀생하였다. 잎은 어긋나고 둥글며 길이 15∼30㎝로서 표면의 주맥과 뒷면 맥상에 가시가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는 5∼7개로

  • 땅꾼 / 땅꾼 [사회/사회구조]

    뱀을 잡아서 파는 일을 생업으로 하는 직업인. 땅꾼이라는 이름은 땅을 파서 땅속의 뱀을 잡기 때문에 붙여진 것으로 전한다. 뱀의 맛과 약효는 봄·여름이 가을·겨울보다 떨어진다. 겨울잠을 자기 위하여 영양분을 잔뜩 저장한 뱀들은 늦가을부터 땅속에 들어간다. 뱀은 무리 지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