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월악산 / 月岳山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제천시·단양군·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산. 월악산의 높이는 1,095.3m이며, 소백산맥이 충청북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산악지대이다. 충주호(忠州湖)에 바로 인접하여 있고, 산의 동북쪽에는 소백산국립공원이, 남서쪽으로는 속리산국립공원이 있

  • 월악산국립공원 / 月岳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제천시·충주시와 경상북도 문경시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월악산은 동경 128°02′∼128°21′, 북위 36°47′∼36°58′에 위치하며 면적은 288㎢이다. 1984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월악산국립공원은 예로부터 역사적·지리적·문화적으로 상당히

  • 월출산 / 月出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과 강진군 성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10.7m. 소백산계에 속하는 해안산맥의 말단부에 높이 솟은 산체는 견고한 석영반암과 분암류로 구성되어 있어 수목이 잘 자랄 수 없는 급경사의 지형을 이룬다. 기암괴석이 많아 남국(南國)의 소금강(小金剛)

  • 월출산국립공원 / 月出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영암군과 강진군에 걸쳐 있는 월출산 일대에 지정된 국립공원. 월출산국립공원은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유수한 문화자원, 그리고 남도의 향토적 정서가 골고루 조화를 이루고 있는 한반도 최남단의 산악형 국립공원이다. 우리나라의 다른 국립공원에 비해 면적이 좁은 편이다

  • 월포리하성단구 / 月浦里河成段丘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평성시 월포리에 있는 단구. 대동강 우안에 있는 지질학적으로 특이한 지층구조이다. 4계단의 단구로 이루어서 발달된 하성단구 가운데서 가장 전형적으로 남아있는 것이 3단구 인데 그 대표적인 것이 월포리에 있으므로 월포리하성단구라고 부른다. 단구에는 자갈과 붉은

  • 월호도 / 月湖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월호리에 있는 섬. 동경 127°59′, 북위 34°26′에 위치하며, 여수반도 남쪽 끝에서 동남쪽으로 8.3㎞ 지점에 있다. 면적은 1.92㎢이고, 해안선 길이는 7.88㎞이다. 1896년에 돌산군 화개면에 속하였다가, 1914년에 여수군 화정

  • 위도 / 蝟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부안군 위도면에 있는 섬. 동경 126°20′, 북위 35°35′에 위치하며, 변산반도에서 서쪽으로 14.6㎞ 지점에 있다. 위도면의 주도에 해당한다. 북쪽에 식도가 있으며, 정금도와는 방조제로 연결된다. 그 밖에 큰딴치도·딴달래섬·거륜도 등 부속 섬들이 있다

  • 위봉산 / 威鳳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완주군 소양면과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24m. 동남쪽의 원등산(遠登山, 713m), 동북쪽의 화부산(貨付山, 602m), 서쪽의 서대산(西大山, 612m)·종남산(終南山, 600m) 등과 같이 전주시의 동부 외곽을 이루는 산지 중의 하나이다. 동쪽

  • 위원강 / 渭原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위원군 대덕면의 중지봉(中枝峰, 1,241m)과 연덕산(淵德山 또는 大德山, 1,730m)에서 발원하여 위원군을 지나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86.5㎞. 북서류하다가 양강동에서 남쪽 숭적산(崇積山, 1,994m)선에서 북류하여오는 한백천(漢柏川)을 합한

  • 위천 / 渭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군위군 고로면과 의성군 춘산면, 청송군 현서면의 경계인 매봉에서 발원하여 군위군 중심부를 북서류하여 의성군을 지나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유로연장 110.7㎞. 매봉 남사면의 여러 골짜기에 물이 모여 서남쪽으로 흘러 고로면의 중심부를 뚫고 화수리에 이르러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