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두더지 혼인설화 [문학/구비문학]

    한 두더지가 가장 훌륭한 사윗감을 구하러 다니다가 결국 같은 종(種)의 사위를 선택한다는 내용의 설화. 형식담 가운데 반복담에 속하며, ‘두더지사위고르기’라고도 한다. 동양권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상당히 널리 분포되어 있다. 인도의 경우는 『판차탄트라(Pancha

  • 두들긴무늬토기 / pottery with paddle and anvil design [역사/선사시대사]

    초기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제작, 사용된 두들긴 무늬가 있는 토기. 두들긴무늬토기〔打捺文土器〕란 토기 제작의 공정에서 점토띠의 이음매를 단단하게 붙이거나 그릇의 벽을 자연스런 곡면으로 만들기 위해 그릇 안쪽을 받침모루〔內拍子〕로 받치고 그릇 외면을 타날구(打捺具: 外

  • 두량이성 / 豆良伊城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청양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에 열성(悅城)으로 고쳐 부여군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기 940년(태조 23) 지금의 이름인 정산현(定山縣)으로 고쳤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 때 청양군에 편입되어 정산면 지역으로 추정된다.

  • 두레 [사회/촌락]

    중남부지방 논농사 지대에서 한 마을의 성인남자들이 협력하며 농사를 짓거나, 부녀자들이 서로 협력하여 길쌈을 하던 공동노동조직. 남자들의 일은 주로 모내기·김매기 때와 같이 단기간 내에 대규모의 노동력을 집약적으로 투입해야 할 때 관행되어 왔다. 두레는 지역에 따라 구성

  • 두루마기 [생활/의생활]

    우리나라 고유의 겉옷. 좁은 의미로는 조선 말기에 도포(道袍)·창의(氅衣) 등의 제도가 없어지고 일반 사서인(士庶人)이 착용하기 시작하여 오늘날 입혀지고 있는 포제(袍制)를 말한다. 소매는 좁고 직령교임식(直領交衽式)이며 양 옆에 무를 달아 옆을 막고, 길이는 발목에서

  • 두루봉동굴유적 / ─洞窟遺蹟 [역사/선사시대사]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노현리 시남마을에 있는 구석기시대의 동굴유적. 두루봉은 옥천계 암석 중 백봉리층떼의 운교리 터에 자리잡고 있다. 이 근처의 지형은 전체적으로 배사구조의 날개부분에 해당된다. 단층선을 따라 지하수에 의한 석회암 용해작용이 일어나 신생대 제4

  • 두루섬 / 豆樓島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대동군 고평면 상단리·중단리·하단리(지금의 평양특별시 낙랑구역)의 대동강에 속하는 섬. 동서 길이 약 4㎞, 남북의 폭이 가장 큰곳이 1.3㎞가량이며, 면적은 3.2㎢이다. 동쪽의 양각도와의 사이에 쑥섬과 연륙이 되어 있다. 동서방향으로 투구모양을 하고 대동강

  • 두류기행록 / 頭流記行錄 [문학/한문학]

    1472년(성종 3)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1472년(성종 3)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지리산 기행문. 작자의 문집인 『점필재집(佔畢齋集)』 권2에 수록되어 있다. 원제(原題)는 ‘유두류록(遊頭流錄)’이다. 『동문선』의 속편 제21권에는 ‘두류기행록’으

  • 두류산 / 頭流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양덕군 구룡리와 강원도 천내군 동흥리, 법동군 용포리의 경계에 있는 산. 두류산의 높이는 해발 1,323m로 마식령산맥에 속하며, 북서쪽으로 재령산(載靈山, 1,208m)에 이어진다. 문천면에서 남서쪽으로 약 25㎞ 떨어져 있고 원산시에서 서쪽으로 약 35㎞

  • 두류산 / 頭流山 [지리/자연지리]

    양강도(兩江道) 백암군(白岩郡)과 함경남도(咸鏡南道) 단천시(端川市)의 경계에 있는 산. 두류산의 높이는 2,309m로, 마천령산맥(摩天嶺山脈)에 속하여 있으며, 이 산으로부터 동서로 함경산맥(咸鏡山脈)의 지맥이 시작된다. 두류산의 해발은 높으나 용암대지 위에 있어 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