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학가사 / 東學歌辭 [종교·철학]

    동학사상을 전파하기 위해서 만든 가사. 최초의 동학가사는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용담유사>는 1880년 최시형에 의해 <동경대전>과 함께 간행되었다. <용담유사>에 실려 있는 동학가사는 그 당시까지 암송되어 오던 것들이다. <용담유사> 이후의 동학가사는

  • 동학서 / 東學書 [종교·철학]

    동학에 관한 여러 문적을 모아 엮은 책. 필사본으로 편자와 편집연대는 미상이다. 편차와 내용이 중복되어 있는 것을 볼 때 간행목적으로 편집된 것이라기보다는 자료를 수집, 보관하기 위해 엮은 책인 듯하다.

  • 동학운동 / 東學運動 [역사/근대사]

    1894년 전라도 고부의 동학접주 등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킨 농민운동. 동학농민운동은 전라도 고부군에서 일어난 민란에서 비롯되었다. 고부민란으로부터 1년여에 걸쳐 전개되었던 동학농민운동은 결국 실패하였으나, 여기에 참가한 동학농민군은 뒤에 항일의

  • 동한계고편 / 東韓稽古篇 [언론·출판]

    저자 안정복(1712-1791). 필사본. 1책. 이 책은 1책 114장이다. 본문에는 두 가지 기록이 있는데 전자는 <동한계고편>, 후자는 <신당서>의 자료를 초록한 부분이다. <동한계고편>은 단군조선에서 고려에 이르는 역사를 국가별, 국왕별로 연대기 형식으로 기록한

  • 동한만 / 東韓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북청군 신포읍 앞바다의 마양도(馬養島)와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에서 동해안으로 돌출한 수원단(水源端) 사이에 있는 만. 동해안 최대의 만이다. 너비는 148㎞, 만입(灣入)은 약 80㎞이며 수심은 내만(內灣)에서는 10m 안팎이나 외만(外灣)으로 갈수록 깊어져

  • 동한연의 / 東漢演義 [문학/고전산문]

    명나라의 역사소설 『동한통속연의(東漢通俗演義)』의 번역본. 한글필사본. 『동한연의』는 『서한연의』와 함께 이른 시기에 조선에 전래되어 역사연의소설 및 장편소설에 영향을 끼치며 많은 독자층을 형성한 작품이다. 동한 시기의 열두 황제 중에서도 광무제의 사적이 매우 상세히

  • 동한해류 / 東韓海流 [지리/자연지리]

    우리나라의 남동 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해류. 동한해류는 태평양 서부 연안을 따라 흐르는 쿠로시오해류[黑潮海流]의 지류인 쓰시마해류[對馬島海流]의 일부가 우리나라의 남동 해안을 따라 북상하면서 형성된 난류이다. 동한해류의 일부는 봄이나 여름에는 함경북도 해안을 지나 러시

  • 동해 / 東海 [지리/자연지리]

    우리나라 동쪽에 있는 바다. 서태평양의 연해로서 우리나라와 러시아, 일본열도 및 사할린섬으로 둘러싸여 있다. 북동은 소야·타타르해협으로 오호츠크해와 이어지고, 동으로는 쓰가루해협에 의해 태평양과, 그리고 남으로는 대한해협에 의하여 남해와 연결되고 있다. 전체 윤곽은 북

  • 동해1호터널 / 東海一號─ [경제·산업/교통]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임곡리에 있는 터널. 길이 522m, 설계속도 50㎞/hr의 영동∼동해고속도로상의 터널로 1975년 준공되었다. 영동∼동해고속도로 터널 표준단면에 따라 차선너비 7.2m(2차선), 유지관리원 통행에 필요한 공간 좌우 각각 0.6m, 높이 5.15m

  • 동해2호터널 / 東海二號─ [경제·산업/교통]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와 강동면 산성우리를 연결하는 터널. 길이 449m, 설계속도 70㎞/hr로 시공된 영동∼동해고속도로상의 터널로 1975년 준공되었다. 단면은 영동∼동해고속도로 터널 표준단면에 따라 차선너비 7.2m(2차선), 유지관리원의 통행로가 좌우 각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