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울도 / 蔚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울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 북위 37°03′에 위치하며,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71㎞ 지점에 있다. 북쪽에 위치한 덕적도에서 남쪽으로 뻗어 있는 덕적군도의 남쪽 끝 섬이다. 면적은 2.11㎢이고, 해안선 길이는 12.7㎞이다. 2010년

  • 울산만 / 蔚山灣 [지리/자연지리]

    울산광역시 남구 남화동의 뻔득말과 방어진 반도 최남단의 화암추(花巖湫) 사이에 있는 만. 태백산맥의 남부 동록에 따른 단층곡이 몰입하여 형성된 구조곡만으로, 만구는 남쪽으로 열려 있다. 폭은 약 3.2㎞, 만입은 약 8.3㎞이며 수심은 내만에서는 3.6∼9.1m 가량이

  • 울진 성류굴 / 蔚珍 聖留窟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구산리에 있는 석회동굴. 천연기념물 제155호. 길이 800m. 성류굴은 임진왜란 때 부처를 이 굴에 피난, 보호하였다는 데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시생대(始生代)의 변성퇴적층의 석회암지대에 발달하며, 동굴의 바로 옆을 흐르는 왕피천(王避川)의

  • 웅기만 / 雄基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읍 남동쪽에 돌출한 갈은단(葛隱端)과 서쪽에 있는 비파도(琵琶島)사이에 있는 만. 두만강하구에서 서쪽으로 25㎞ 지점에 위치하며 러시아국경과 가까이 있다. 만구는 남쪽으로 열려 있으며 폭은 약 3.7㎞, 만입구는 4.6㎞에 달하고, 수심은 3.4∼2

  • 웅령 / 熊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청도군 매전면과 청도읍 사이에 있는 고개. 청도천(淸道川)과 동창천(東倉川)의 분수령(分水嶺)에 솟아 있는 용각산(龍角山, 697m)과 남쪽 부야리의 뒷산(679m)과의 안부(鞍部)에 위치한다. 북사면은 동창천의 지류인 춘천(春川)의 상류 하곡과 연결되고 남사

  • 웅어수산 / 雄魚水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 희천군 신풍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19m. 묘향산맥을 이루는 산으로 동북쪽에 대남백산(大南白山), 서남쪽에 낭림산(狼林山, 2,014m) 등이 솟아 있다. 산릉은 동북∼서남방향으로 달리고 산세는 몹시 험준하다.

  • 원산도 / 元山島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오천면 원산도리에 있는 섬. 동경 126°23′, 북위 36°23′에 위치하며, 안면도에서 남쪽으로 1.7㎞ 지점에 있다. 면적은 10.28㎢이고, 해안선 길이는 28.5㎞이다. 보령시 신흥동에서 원산도를 연결하는 해저터널(6,927m)이 2012년에

  • 원주분지 / 原州盆地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원주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침식분지. 원주분지의 면적은 약 100㎢에 달한다. 원주분지의 동서 길이는 약 10㎞, 남북 길이는 약 15㎞이다. 동쪽에 치악산(雉岳山, 1,288m), 서쪽에 봉화산(鳳華山, 334m), 남쪽에 백운산(白雲山, 537m), 북쪽에 장

  • 원효산 / 元曉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양산시 웅상면·상북면·하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22m. 태백산맥의 여맥이 달리는 경상남도 동부산악지대의 양산구조선(梁山構造線)과 울산구조선(蔚山構造線) 사이에 위치하며, 북쪽에는 정족산(鼎足山, 700m)과 천성산(千聖山, 812m)이 있다. 원효산의

  • 월봉산 / 月峯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과 함양군 서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79m. 덕유산국립공원의 남쪽에 있는 산으로 북쪽능선을 따라 남령(藍嶺)을 지나 덕유산(1,614m)에 이르고, 남쪽으로는 큰목재·은신치(隱身峙)를 지나 거망산(擧網山, 1,184m)에 이른다. 동쪽사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