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진대교 / 東津大橋 [경제·산업/교통]
전라북도 부안군 동진면과 김제시 죽산면을 잇는 동진강 하구에 놓인 다리. 길이 445m, 폭 10m, 높이 16m이다. 1978년에 준공되었다. 부안군의 관문에 위치하며 다리가 가설되기 전에는 동진나루가 있어 나룻배로 왕래하였다. 나루터 옆 청운동에는 동진원(東津院)이
동진사 / 同進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및 조선 초기 문과 급제자의 등급 중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의 등급. 고려시대의 문과는 크게 국자감시와 예부시로 나뉘었고, 예부시에는 제술업과 명경업이 있었는데, 이 가운데 제술업에 급제한 사람을 갑과·을과·병과 및 동진사로 구분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전시에서 급제
동징 / 洞徵 [경제·산업/산업]
조선 후기 삼정문란의 한 사례인 군정의 폐해. 19세기 중엽인 철종 이후에는 정치가 극도로 문란하여, 국법에는 군역의 해당자가 도피하여 10년이 되어도 행방불명인 경우에는 면역조처를 하기로 되어 있었으나,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도피자의 부담을 인근의 주민
동차 / 童車 [과학기술/과학기술]
작은 짐을 나르는 기구. 네모틀 각 구석에 네개의 바퀴를 달고 앞뒤의 가로대에 끈을 묶어 네 사람이 잡아당기게 되어 있다. 평지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돌이나 작은 석재, 기와 등을 운반하는 데 주로 쓰였다. ≪화성성역의궤≫에, 수원성곽공사를 위하여 동차 192량을
동창춘향가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가 개작한 「춘향가」. 「남창춘향가(男唱春香歌)」와 짝을 이루는 작품이다. 필사 연대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성두본(星斗本)을 비롯하여 여러 이본이 전해 오지만, 미세한 부분의 차이만 보여 준다. 가람본에는 ‘童唱一云女唱(동창일운여창)
동천 / 東川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창성군과 초산군(지금의 동창군과 자강도 송원군)에 걸쳐 있는 대암산(大巖山, 1,086m)의 북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벽동군 유역을 지나 수풍호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55.2㎞, 유역넓이 260.5㎢. 압록강의 제1지류이며, 벽동군에서 제일 큰 하천이다. 전형
동첨사 / 同僉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광정원과 자정원의 3품 관직.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즉위하여 관제를 개편할 때 광정원과 자정원을 새로 설치하고 광정원의 종3품, 자정원의 정3품 관직으로 동첨사를 두었다. 두 관부에서 모두 사(使)·동지사(同知事)·첨사 다음의 관직이었다. 그러나
동첨절제사 / 同僉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각 진의 장인 종4품의 관직. 조선 건국초인 1395년(태조 4)의 제도에는 4품의 무관직으로서 군·현의 군사를 장악하는 병마단련부사(兵馬團鍊副使)가 있었고, 이 밖에도 남부 해안지역 및 양계의 여러 진에 부임하여 국방에 임하는 병마부사(兵馬副使)가 있었다.
동촌유원지 / 東村遊園地 [지리/자연지리]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유원지. 시청 동쪽 4㎞ 지점인 금호강변에 있다. 금호강변의 남안에는 수직의 절벽이 높이 솟아 절경을 이루며 그 앞쪽의 넓은 모래사장은 놀이터를 제공하고 있고, 북안에는 멀리 팔공산이 보이는 경승지이다. 전체면적 약 1.5㎢에 전·답·대지
동치미 [생활/식생활]
통무를 주재료로 해서 담근 김치. 우리 나라에 고추가 보급되기 이전에는 김치를 소금에 담갔다. 그러므로 동치미는 가장 먼저 시작된 김치의 기본형이라 할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무를 소금에 절여 구동지(九冬至)에 대비한다.”는 시문도 동치미나 짠지류를 가리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