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지삼군부사 / 同知三軍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삼군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1393년(태조 2)에 설치된 의흥삼군부가 점차 그 권한이 비대화됨에 따라 중추원의 군사기능이 허구화되자 1400년(정종 2) 중추원을 의흥부에 합속시켜 녹관을 갖는 삼군부로 발전시킬 때 종전의 동지중추원사가 동지삼군부사로 되었

  • 동지성균관사 / 同知成均館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성균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동지성균관사는 고려의 성균관직에서는 볼 수 없고, 1398년(태조 7)에 처음 나타난다. 인원은 2인으로 다른 관직자가 겸임하도록 되어 있었다. 1466년(세조 12) 같은 겸직이던 성균관의 겸대사성(兼大司成)·겸사성(兼司成)

  • 동지식산회사 / 同志殖産會社 [경제·산업/산업]

    1925년 12월 13일 하와이 대한인동지회에서 설립한 합자회사. 동지식산회사는 하와이의 대한인동지회(총재 이승만)가 경제적 자급자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추진된 사업이었다. 1925년 12월 13일 설립 당시의 임원진을 보면, 사장 신성일, 부사장 김

  • 동지의금부사 / 同知義禁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의금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1466년(세조 12)에 의금부의 직제를 당상관중심체제로 바꾸고자 제조직제를 혁파하면서 판사·지사 다음의 직임으로 설치되어 ≪경국대전≫ 체제로 정비되었다. 판사·지사·동지사의 각 직임별 정원은 규정하지 않고 당상관의 총인원만

  • 동지절제사 / 同知節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초기 의흥친군위와 의흥삼군부에 두어졌던 군직. 조선건국 직후인 1392년(태조 1) 7월 이성계가 직접 거느리던 친군을 의흥친군위로 편성하여서 종2품 이상의 종실과 훈신을 그 절제사로 임명하여 지휘하도록 하였는데, 동지절제사는 이 절제사의 직급 가운데 하나이다.

  • 동지중추부사 / 同知中樞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중추부에 소속된 종2품의 관직. 태조는 중추원에 종2품의 동지원사(同知院事) 4인을 두었다.그 뒤 1432년(세종 14)에 중추원이 복설되어 정원을 6인으로 정하였다. 그 뒤 정원이 9인까지 되었다. 이후 1457년(세조 3) 용관(冗官) 감축의 방침에 의하

  • 동지춘추관사 / 同知春秋館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춘추관에 소속된 종2품 관직. 춘추관의 다른 관직과 마찬가지로 타관의 겸직이었는데, 품계로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상, 직책으로는 참판급 이상이 겸하도록 되어 있었다. 정원은 2인이었으나 실록편찬시의 상황에 따라 그 이상이 임명되었다. 이들은 평소에는 특별한

  • 동지팥죽 / 冬至─粥 [생활/식생활]

    동짓날 붉은팥을 삶아 거른 팥물에 쌀을 넣고 쑨 죽. 동짓날 절식의 하나이다. 동짓날 그가 생전에 싫어하던 붉은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던 중국의 풍습이 있었다. 그 전래시기는 알 수 없으나, 『목은집』·『익재집』 등에 동짓날 팥죽을 먹는 내용의 시가 있는 것으로

  • 동진 / 東津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울주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율포현(栗浦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동진현(東津縣)으로 고쳐 임관군(臨關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태조 때 울산군으로 이속하였고, 1018년(현종 9) 유포진첨사(柳浦鎭僉使)를 설치하였다. 1397년(태조

  • 동진강 / 東津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정읍시 산외면의 상두산(象頭山, 575m)에서 발원하여 김제평야를 지나 황해로 흘러드는 강. 유역면적 1,034㎢, 유로연장 44.7㎞이다. 도원천(桃源川)을 이룬 뒤, 정읍시 칠보면에서부터 하폭(河幅)이 50m 이상으로 넓어지면서 동진강이 된다. 동진강과 만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