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작구 / 銅雀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 남서부에 위치한 구(區). 서울특별시 동작구는 동쪽으로 서초구, 서쪽으로 영등포구, 남쪽으로 관악구에 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한강 건너 용산구와 영등포구 여의도와 접해 있다. 위치는 동경 126°45'∼126°59', 북위 37°28'∼37°30'이다. 면
동작대교 / 銅雀大橋 [경제·산업/교통]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동작구 동작동을 연결하는 다리. 다리의 길이는 1,330m이며 너비는 도로 28.6m, 전철교 11.4m이다. 한강 위에 14번째로, 민간 자본에 의해 1984년에 준공된 우리 나라 최초의 병용 교량(철교 및 도로교)이다. 상부구조의 유심부는
동잠 / 桐岺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김천 지역의 옛 지명. 757년(경덕왕 16) 금산(金山)으로 고쳐서 개령군(開寧郡)의 영현으로 삼았고, 1018년(현종 9) 경산부(京山府)에 이속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 감무를 설치하였다. 조선 정종 때 임금의 태(胎)를 묻은 곳이라 하여 군(郡)
동적전 / 東籍田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수도 한성의 흥인문 밖에 설정되어 있엇던 적전. 조선 태종 때 옛 수도인 개성 교외에 설치한 서적전에 대칭하여 부른 이름이다. 동·서 적전의 합계가 400결이고 서적전이 300결이었으므로 동적전은 100결 정도의 규모이었다. 국왕의 친경시범은 자연 동적전에서
동점령 / 銅店嶺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갑산군 진동면(지금의 양강도 갑산군 동점노동자구)의 동부에 있는 고개. 높이 1,857m. 우리 나라에서 제일 높은 고개이다. 이 고개는 동점령산(銅店嶺山, 2,113m)과 활기봉(活基峰, 2,003m) 사이에 있으며 동쪽 기슭에는 남대천(南大川)과 서쪽 기슭
동정직 / 同正職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산직. 문반 정6품 이하와 무반 정5품 이하, 남반·이속·향리·승관 등에 설정되어 있었다. 같은 산직으로 문반 5품 이상, 무반 4품 이상에 두어진 검교직과 상하관계를 이루면서 하나의 산직체계를 구성하였다. 특히, 초입사직으로 활용되어, 음서를 통하여 입사
동정집 / 東亭集 [종교·철학/유학]
동정 이병호의 문집. 4권 2책. 석인본. 서문은 없고, 발문은 제자인 재종질 이선구와 서주 김사진이 1934년에 지었다. 표제는 동정집이고 판심제는 동정유고이다. 이 책은 최병인, 정태진, 권종원, 김사진 등이 원고를 수합한 뒤 면우 곽종석에게 교정을 받아서 간행되었
동정호 / 洞廷湖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통천군 흡곡면 연화리(지금의 통천군 하수리) 북동부 연안에 있는 호수. 넓이 4.84㎢, 남북길이 4.5㎞, 동서길이 1.4㎞이며, 둘레는 18.1㎞로 소개되었으나, 1990년 현재의 영상을 중심으로 GIS 와 원격탐사 기법으로 측정된 규모는 넓이 4.68㎢ 이
동제 / 棟堤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정선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신라의 동토현(東土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에 동제현으로 고쳐 명주군의 영현으로 하였다. 1906년 정선군 임계면이 되었다. 동제라는 이름은 동토(東土)와 같은 의미로 ‘새터ㆍ새말’의 뜻을 가진다. 신라 때 북쪽의 산간지역
동제 화엄경변상도 경상 / 銅製 華嚴經變相圖 經床 [예술·체육/공예]
조선시대 청동제 경상(經床). 청동을 주조하고 접합해서 만든 4각 책상으로, 천판 윗면에는『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변상도를 새겨 넣었다. 2012년 10월 30일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22호로 지정되었고, 동아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경상은 경전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