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의어 / 同義語 [언어/언어/문자]

    어떤 단어와 음성형태는 다르나 의미가 같은 단어를 일컫는 말. 국어의 동의어는 어휘의 계열에 따라서 일곱 가지 유형을 생각할 수 있다. 국어의 어휘에는 고유어·한자어·외래어의 세가지 계열이 있으므로, ① 고유어 : 고유어, ② 고유어 : 한자어, ③ 한자어 : 한자어,

  • 동인논시절구 / 東人論詩絶句 [문학/한문학]

    1831년(순조 31)신위(申緯)가 지은 한시. 1831년(순조 31) 신위(申緯)가 지은 한시. 칠언절구. 35수. 작자의 시집 『경수당전고 警修堂全藁』에 수록되어 있으며, 김택영(金澤榮)이 1907년 중국 남통(南通)에서 간행한 『자하시집 紫霞詩集』에는 24수만 수

  • 동인도 / 銅人圖 [과학/의약학]

    인체의 경혈을 그림으로 표시한 의료용 인체해부도. 우리 몸의 오장육부에 생긴 병이 신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자리를 한의학에서는 보통 경락(經絡)이라 하고, 이곳을 침이나 뜸으로 자극함으로써 병을 치료한다. 그리고 이 오장육부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 동인시초 / 東人詩鈔 [언론·출판]

    저자미상, 필사본. 표지까지 포함하여 총 69장이다. 본 서의 구성은 일정한 순서 없이 여러 작품과 작가가 뒤섞여 있다. 전체적으로 율시를 앞세우고 절구는 뒤에 조금 수록하였다. 그 비율이 대략 9:1 정도인 것을 보면, 근체시, 그 중 율시를 집중적으로 선발한 것임을

  • 동인시화 / 東人詩話 [문학/한문학]

    1474년(성종 5)에 서거정(徐居正)이 지은 시화집(詩話集). 상·하 2권 1책. 총 143편으로 되어 있다. 강희맹은 서문에서 “문사의 아름다움만 취했을 뿐만 아니라, 세교(世敎) 유지를 근본으로 삼았으니 그 노력이 대단하다”고 하여, 그 대의가 ‘세교’임을 지적

  • 동인지문 / 東人之文 [문학/한문학]

    고려 말 최해(崔瀣)가 신라 최고운(崔孤雲)에서 고려 충렬왕 때까지 명가(名家)의 시문을 모아 간행한 시문선집. 『동인지문』의 편찬 연대 등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는 최해의 문집인 『졸고천백(拙藁千百)』에 수록되어 있는 「동인지문서(東人之文序)」와 「동인사륙서(東人四

  • 동인지문사륙 / 東人之文四六 [문학/한문학]

    고려 말 최해(崔瀣)가 신라와 고려 명현의 시문집 중에서 사륙변려문만을 모아 간행한 시문선집. 고려 목판본. 15권. 『동인지문사륙』의 완질본이 15권이나 되는 것을 보면 『동인지문사륙』은 『동인지문』 중에서 사륙문(四六文, 騈儷文)을 모아 증보한 별질본(別帙本)인 듯

  • 동인지문오칠 권7-9 / 東人之文五七 卷七~九 [문학/한문학]

    1355년(공민왕 4) 최해가 신라와 고려 명현들의 시문을 모아서 간행한 시선집.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1355년(공민왕 4) 최해(崔瀣, 1288∼1340)가 신라와 고려 명현의 시문집 중에서 오언시와 칠언시를 모아 간행한 시선집으로 『동인지문오칠』 가운데

  • 동자례 / 童子禮 [종교·철학/유학]

    김성일이 동자들에게 가르치는 예절을 모아 예절의 교과서로 사용한 책. 불분권 1책. 목판본. 1910년 후손 도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와 이중곤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김발·김종하·김휘철·박승진의 발문이 있다. 검속신심 11편, 사부사사 11편, 서당

  • 동자문답 / 童子問答 [문학/고전산문]

    작가·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국문필사본. 부록으로 「답랑전」·「정슈경전」 등과 함께 합본되어 있다. ‘공부자동자문답(孔夫子童子問答)’이라고도 한다. 공자와 지혜로운 소년이 주고 받았다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꾸며져 있다. 이 작품은 비교적 간단하여 소설의 형태를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