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외동패총 / 東外洞貝塚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동외리에 있는 초기철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현재 유적의 중요성을 감안, 영구보존을 위하여 동아대학교가 매입하여 보존하고 있다. 이 발굴조사에서 야철지(冶鐵址)·널무덤[土壙墓]·돌널무덤[石棺墓]·독무덤[甕棺墓] 등의 각종 유구(遺構)와, 탄화미(
동요 [문학/구비문학]
어린이들의 꿈과 의욕을 담고 있으면서 어린이들에 의해 불리는 어린이들의 노래. 동요의 바탕에는 단순·보편성 및 이상(理想)과 몽환(夢幻)이 담긴 낭만주의적 요소와 함께 윤리성·교육성으로 집약되는 인도주의적 요소가 있다. 동요는 언제 누가 지었는지 알려지지 않은 채 전래
동우집 / 東寓集 [종교·철학/유학]
동우 송태익의 문집. 석인본. 서 : 김진수(1980), 후지 : 송시익(1980). 6권 3책. 1974년 저자가 사망한 후, 아들 치선이 부친의 유고를 수합하고 동생 송시익이 주관하여 1980년 문집을 간행하였다. 영주의 사림들이 발간 비용을 모금하고, 족질 송수
동유감흥록 / 東遊感興錄 [문학/고전시가]
심복진(沈福鎭)이 지은 일본국기행가사집(日本國紀行歌辭集). A5판. 28면. 국한문활자본. 경술국치 이후 조선총독부에서는 동화정책상(同化政策上) 지방군수·면장 등 공직자 가운데서 단원을 모집하여 3∼4주간 일본 각지를 관광시켰다. 그 뒤 그들이 본 것 중에서 일본의 발
동유기 / 東遊記 [문학/고전산문]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금강산 기행문. 내용은 삼신산(三神山)이 모두 우리나라에 있으며, 그 중에도 봉래(蓬萊)는 금강산임을 강조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어서 금강산은 중국인들조차 한번 보고 싶다고 하였는데, 이 나라에 태어나서 어찌 못보고 평생의 한이 되게
동유사우록 / 東儒師友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박세채가 신라시대부터 조선 선조까지 유학자들의 사우 연원을 밝혀놓은 책. 37권 19책. 필사본. 이 책의 내용 서술상 특징의 하나는 학통을 표시함에 누구의 문인임을 명기해 학자의 계보와 당론의 대립까지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이다. 또 다
동음어 / 同音語 [언어/언어/문자]
음성형태는 동일하나 의미가 다른 두 개 이상의 단어. 동음어를 국어어휘의 계열에 따라 분류해보면, ① 고유어끼리의 동음어, ② 고유어와 한자어의 동음어, ③ 고유어와 외래어의 동음어, ④ 한자어끼리의 동음어, ⑤ 한자어와 외래어의 동음어, ⑥외래어끼리의 동음어, ⑦ 고
동의대사태 / 東義大事態 [역사/현대사]
1989년 5월 3일 부산 동의대생들이 도서관으로 진압하는 경찰을 저지하기 위해 던진 화염병이 대형화재로 번져 경찰관 7명이 숨지고 학생과 경찰 11명이 중상을 입은 참사. 5월 1일 동의대생 50여 명이 이날 가두시위 도중 연행된 정성원을 구출하려고 부산진경찰서 가야
동의보감 / 東醫寶鑑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의가류(醫家類) 허준(許浚) 봉교찬, 목판본, 전주, 완영(1814), 23권, 목록 2권 합 25권 25책. 선조의 명으로 중국과 조선의 의서(醫書)들과 체험을 통한 치류방을 모아 집성한 한의학의 백과전서, 1613년(광해군 5)에 초간 후 여러 차례
동의수세보원 / 東醫壽世保元 [종교·철학/유학]
1894년 이제마가 지은 의서. 4권 2책. 목활자본. 1893년 7월 13일부터 저술에 착수하여 다음해 4월 13일에 완성하였다. 책명의 ‘동의’는 중국의 의가와 구별하기 위한 것, ‘수세’는 온 세상 인류의 수명을 연장시킴을 뜻하는 것이다. ‘보원’은 만수의 일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