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양서원 / 東陽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평산군(현재 황해남도 봉천군) 마산면 당후리에 있는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과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7년(숙종 13)에 ‘동양(東陽)’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 동양주 / 冬陽酒 [생활/식생활]

    찹쌀로 한번 덧술하여 빚는 술. 며, 중국의 문헌인 『거가필용(居家必用)』에도 찹쌀에 동양주국(東陽酒麴)과 홍국(紅麴) 등의 누룩을 섞어서 빚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규곤시의방』에서는 백미 2되를 가루내어 연한 구무떡을 만들어 물에 삶고, 식으면 누룩가루 2되와 잘

  • 동양척식주식회사투탄의거 / 東洋拓殖株式會社投彈義擧 [역사/근대사]

    1926년 의열단원 나석주가 일제의 한국 경제 침략의 총본산인 동양척식주식회사를 습격하여 폭탄을 던진 의거. 나석주는 민족지도자 김창숙의 권유를 받고, 조국을 강탈하고 농민을 착취하는 대표적 일제 침략 기관인 조선식산은행과 동양척식주식회사 등을 습격하였고, 이후 순국하

  • 동언고략 / 東言考略 [언어/언어/문자]

    국어 어원을 해석한 책. 2권 1책. 한문필사본. 이본으로 필사본 3종과 1903년정교(鄭喬)의 이름으로 간행된 국한문혼용의 활판본이 있는데, 내용에는 큰 차이가 없다. 편제의 내용은 고담(古談), 속언(俗諺) 상(上), 속언 하 등의 순서로 나뉘어 있다. 또한 ‘고담

  • 동언해 [문학/구비문학]

    편자 미상의 한문속담집. 모두 422수로 『공사항용록(公私恒用錄)』 속에 수록되어 있다. 서법(書法)은 『순오지 旬五志』와 같으나 한역이 『순오지』보다 미숙하며 배열도 자수대로 되어 있지 않고 조잡한 편이다. 이는 그때 그때 들은 대로 적어놓은 속담모음이기 때문인 것으

  • 동여도 / 東輿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철종 연간에 제작된 분첩절첩식(分帖折疊式)의 전국 지도. 채색필사본. 1조 23첩. 서울역사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와 유사한 내용으로 김정호(金正浩)가 『대동여지도』를 만들기 위해 작성한 고본(稿本)일 가능성과 『대동여지도』에 자료를 보충한 필사

  • 동여도지 / 東輿圖地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김정호가 국가의 통치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편찬한 지리서. 22책. 필사본. 총 22책 중 8책, 14책, 18책 등 3책은 결본이다. 현존하는 지리지는 영남대학교 도서관 17책과 규장각 도서 2책 등 19책이 남아 있다. 『동여도지』를 편찬하게 된

  • 동여비고 / 東輿備考 [지리/인문지리]

    전국의 도별도·군현도 등 32종의 지도를 수록한 지도집.지도첩. 『동여비고』의 구성과 체제를 살펴보면, 32여 종의 지도를 60면으로 나누어 한 책에 수록하였다. 가로는 33㎝∼68㎝이고 세로는 37㎝∼42㎝으로 지도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다. 이 책은 일종의 도별도(道

  • 동여전도 / 東輿全圖 [지리/인문지리]

    전국 도별도와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등을 수록한 지도집. 크기는 세로 24㎝, 가로 17㎝이며, 대조선국전도·한양경성도·경성부근도 각 1매와 전국 8도 각 1매씩 전체 11매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나라 전도를 「대조선국전도」라고 한 것으로 보아 대한제국

  • 동영 / 東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어영청의 한 분영. 어영청의 본영은 서울 남소문 동쪽에 있었는데,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신영(新營)·남소영(南小營)·동영·집춘영(集春營) 등을 설치하였다. 공해(公廨)의 하나는 선인문(宣仁門) 밑에, 다른 하나는 경희궁 개양문(開陽門) 밑에 있었다.

페이지 / 2214 go